신용 강등 우려 재무건전성 강화…차입없이 7조2000억 조달 박차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
포스코에서 인수합병(M&A)을 전담하는 전략사업실의 근황이다. 지난해 대한통운 인수가 좌절된 후 호주 대형 철강사 원스틸 인수 검토 작업을 돌연 중단하고, 폴란드·헝가리 등에서 소규모 철강업체 인수를 추진했으나 성사시키지 못했다. 재무건전성 유지에 비상에 걸린 탓에 가용자금이 바닥을 드러냈기 때문이다.
급기야 포스코는 철강소재 제조사인 포스코 캠텍과 정보기술(IT) 엔지니어링 업체인 포스코 ICT의 지분을 매각키로 했다. 또 비상장 계열사인 포스코파워와 포스코특수강도 연내 상장한다는 방침이다.
◇현금성 자산 바닥= 지난 2010년초 7조원에 달했던 포스코의 현금성 자산은 올 들어 2조원 대로 급감했다. 대우인터내셔널을 인수하는 데 3조원이 넘는 돈을 쓰면서 밀물처럼 빠져나갔다.
특히 지난해 영업이익이 악화되면서 부채 비율은 2배 가까이 늘어났다. 통상적으로 6조원 안팎을 유지해 온 포스코의 연간 영업이익이 지난해 4조2000억원으로 급감했다. 시황 악화와 공급과잉으로 철강재 판매가 줄고 제품 가격이 하락한 탓이다. 이에 따라 2009년 54.5%였던 부채비율이 지난해 92.4%까지 높아졌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지난해 말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와 무디스 등 외국 신용평가사들은 잇따라 포스코 재무상황을 우려하며 신용전망을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했다. 현재 글로벌 고로 철강사 중 포스코 만 A등급을 유지하고 있다. 이미 지난해 신일본제철과 아르셀로미탈 등 다른 철강사들의 신용등급은 B등급으로 떨어졌다.
포스코 관계자는 “실제로 부정적인 신용전망이 신용등급 하락으로 이어지면 회사채 발행 등 자금 조달 비용이 늘어나게 된다”며 “기업 이미지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차입없이 신용등급 유지= 다급해진 포스코는 ‘비상경영체제’를 선언하고 재무안정성 확대를 위해 당초 7조3000억원이던 지난해 투자액을 5조7000억원으로 줄였다. 올해 투자규모도 4조5000억~5조1000억원으로 지난해 보다 더 낮췄다. 현금성 자산 감소와 부채비율 상승으로 글로벌 신용평가회사들로부터 등급 하향 조정 압박 때문이다.
포스코는 무차입경영을 통해 신용등급 'A'를 사수하는 것이 목표다. 정준양 회장은 지난 3일 CEO(최고경영자) 포럼에서 “신용평가상 가장 기본적인 평가기준이 영업현금흐름(EVITDA) 대비 부채비율인데 지난해 3.5 정도로 신용등급 저하를 가져왔다”며 “올해는 재무건전성 확보를 위해 7조2000억원 정도를 내부 조달해 이 비율을 3.0 수준으로 낮추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그룹 통합경영을 강화하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중복사업과 조직 등에 대한 교통정리를 확대할 방침이다. 포스코ICT는 이달 초 원자력과 화력 발전정비 등의 사업을 해온 계열사 포뉴텍의 주식 400만주를 400억원에 인수했다. 포스코의 스테인리스 부문 계열사인 포스코AST는 다른 계열사인 대명TMS를 흡수·합병하기로 했다.
또한 포스코가 각각 지분 72.5%, 60.0%를 보유한 포스코 캠텍과 포스코 ICT의 일부 지분 매각을 추진하고, 비상장 계열사의 IPO와 함께 현재 포스코가 보유 중인 타 기업의 주식 일부를 매각하는 것도 적극적으로 검토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