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부가 사라진 나라’…농가인구 300만선 첫 붕괴

입력 2012-02-02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10년 뒤 인구 100명당 농민 수 4~5명에 불과

산업화 이후 꾸준히 감소해 온 농민 수가 지난해 처음으로 300만명 선 아래로 떨어졌다. 이는 젊은 층이 도시로 이동해 농촌 사회의 출생률이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농업소득이 크게 개선되지 않는 한 이 같은 감소세는 지속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2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농가인구는 모두 296만5000명으로 집계돼 처음으로 300만명 선이 붕괴했다. 농가인구는 2010년에 비해서는 10만3000명(3.4%) 줄어든 수치로 지난 2001년 400만명 선 아래로 떨어진 이후 10년 만에 100만명 이상 줄었다.

지난 1970년대 이후 농촌사회는 급격한 해체 과정을 밟고 있다. 1970년 1442만2000명에 달했던 농가 인구는 △1980년 1082만7000명 △1990년 666만 1000명 △2000년 403만1000명 △2010년 306만8000명으로 집계됐다.

농촌경제연구원은 올해에도 농가인구 감소세가 이어져 작년보다 7만2000명 감소한 289만3000명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총 인구 중 농가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5.9%로 감소해 처음으로 6%를 밑돌 것이라는 관측이다.

같은 추세가 이어진다면 농가인구 비율은 2017년 전체인구의 5.1%까지 떨어지고 2022년에는 4.4%에 다다를 것으로 농촌경제연구원은 내다봤다. 10년 뒤에는 전체 인구 100명 가운데 농업에 종사하는 인구가 채 5명도 되지 않는 셈이다.

농가인구 감소는 젊은층의 도시 이동으로 농촌 출생률이 줄어든 결과로 농업소득이 크게 개선되지 않는 지속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연구원은 농해 농민들의 가구당 소득은 1103만원으로 지난해보다 6.8% 떨어진 뒤 2017년에는 1000만원 아래까지 내려갈 것으로 예상했다.

이 같은 결과를 두고 농가인구를 늘리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관련 전문가들은 농가 소득의 3분의 1에 불과한 농업소득을 높이기 위해 직불제 등 지원책을 강화하거나 귀농 대책에 대한 확대도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한편 비농가 인구를 포함한 농어촌 인구는 2010년 875만8000명으로 5년 전보다 5만4000명 늘어 증가세를 보였다. 그러나 농촌경제연구원은 이 같은 증가가 음식점업, 의료업 등 서비스업 종사자가 늘어난 결과로 농촌의 색깔은 더 옅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