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네버엔딩 스토리' 여주인공 '오송경'역
![](https://img.etoday.co.kr/pto_db/2012/01/600/20120120120944_175151_550_367.jpg)
영화 ‘네버엔딩 스토리’ 개봉을 앞두고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만났다. 최근 SBS 드라마 ‘샐러리맨 초한지’ 촬영 때문에 하루 평균 2시간 이상 잠을 자본 적이 없다고 한다. 하지만 이날은 무려 4시간이나 잤다며 “얍!”하는 기합과 함께 인터뷰 모드 돌변을 선언한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12/01/600/20120120120944_175152_550_403.jpg)
‘혹시 차갑다는 소리 못 들었냐’는 질문에 정려원은 가뜩이나 큰 눈을 더 크게 뜨며 “진짜요?”를 연발했다. 생전 처음 듣는 소리란다. 매니저와 영화 홍보 관계자에게 연신 “나 정말 그래?”라며 부산이다. ‘생각보다 귀엽다’는 생각이 들었다. 선입견의 무너지는 첫 번째 균열이었다.
정려원은 “내가 여치(샐러리맨 초한지)가 다됐단 소리인가. 배우인 나한테는 정말 칭찬으로 들린다”면서 “배우에게 작품과 현실의 이미지가 대비된다면 정말 좋은 것 아닌가. 감사하다”며 생글거린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12/01/600/20120120120944_175153_550_367.jpg)
본론인 영화로 화제를 돌렸다. ‘네버엔딩 스토리’. 독일 출신 할리우드 감독 볼프강 페터슨이 연출한 동명의 1984년작이 아니다. 시한부 인생을 사는 남녀의 알콩달콩 로맨스다. 시한부를 사는 이들의 달달한 로맨스. 두 가지가 의문이었다. ‘또 아픈 여자야?’ 그리고 ‘시한부와 로맨스?’
![](https://img.etoday.co.kr/pto_db/2012/01/600/20120120120944_175154_550_367.jpg)
인터뷰 내내 진중하지만 상대방을 기분 좋게 하는 밝음의 기운이 ‘네버 엔딩 스토리’의 ‘오송경’과 닮은 듯 했다. 하지만 이런 질문에 그는 얼굴을 찡그리며 손사래를 친다. 조금 더해 몸서리를 쳤다. 정려원은 “송경이처럼 난 계획적이지도 그렇게 살기도 싫다. 오히려 태웅오빠가 맡은 동주에 가깝다. 기분파랄까”라며 “아마 송경처럼 시한부 판정을 받는다면 ‘에라 모르겠다’ 자포자기하지 않을까”라며 턱을 괴고 잠시 생각을 했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12/01/600/20120120120944_175155_550_413.jpg)
그는 “시간의 차이일 뿐 사실 인생 자체가 ‘시한부’ 아닌가. 힘든 현실에 순응한 채 고개 숙이고 자신을 괴롭히는 것 보단 남은 시간 동안 무엇을 할 수 있고 최선을 다할 수 있는 게 무엇인지 찾는 게 남은 삶을 소중히 쓰는 것 아닐까”라며 “아마 ‘네버엔딩 스토리’를 보며 이 말을 공감하길 바란다. 그리고 엄마는 현재 건강을 되찾으셨다. 남은 삶에 충실하다 보면 ‘기적’이란 희망도 분명 찾아온다”며 입가에 옅은 미소를 지었다.
아픈 가족이 있어 영화 속 희망에 대한 공감이 조금은 어렵단 질문에 손을 잡아주며 기도를 해주는 그의 모습에 벌어진 선입견의 균열은 더욱 커졌다. 독실한 크리스천으로 기도를 통해 스트레스를 푼다는 정려원. 시간이 지난 뒤 바라 본 그는 차가운 핑크가 아닌 한 없이 따뜻한 블루의 모습 그대로였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12/01/600/20120120120944_175156_550_367.jpg)
정려원은 “태웅오빠가 그러더라 ‘대국민 사과’라도 해야 하는 것 아니냐”면서 “내가 흥행과는 조금 거리가 먼데 만약 성공하면 기도를 통해 ‘정말 이사람이냐’며 물어볼 참이다. 그런데 혹시라도 ‘맞다’고 그러시면 어떻게 하냐”며 난처한 웃음을 지었다. 그 웃음에 공고히 쌓여져 있던 선입견의 장벽은 결국 무너졌다.
솔직함과 털털함 그리고 따뜻함. 배우 정려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