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포주공 공인 “매매계약 어떻게 쓰죠?”

입력 2012-01-18 08:0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개포주공 부동산 시장은 거래실종 등 ‘천태만상’ 거래호가 4000만원 상승…“노 부부가 매매호가만 높여”

“매매계약서 쓰는 방법을 잊어버렸습니다.” 개포주공 4단지 내 C 공인 관계자의 푸념 섞인 말이다. 그는 “그 정도로 거래가 전무하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기자가 지난 16일 오후 4시쯤 개포주공4단지를 찾아갔다. 개포주공 2·3·4단지는 서울 강남권 재건축 최대어로 꼽히고 있으나 재건축 정비구역 지정 절차가 지연되면서 거래가 실종됐다. 이곳에서 집을 구하겠다는 손님을 찾아보기가 힘들었다.

거래가 실종된 가운데 웃지 못 할 해프닝이 벌어지기도 했다. 일주일 전에 개포주공 4단지 41㎡형의 매매호가가 4000만원 뛰었기 때문이다.

H공인 관계자는 “일주일 전에 4단지 41㎡를 사겠다는 사람들이 찾아와 기존거래가 6억3000만원에서 4000만원 정도 뛰었다”며 “알고 보니 노부부가 집을 살 것처럼 온 동네 부동산시장을 휘젓고 다니면서 매매호가만 높여 놓았다”고 말했다.

그는 “집을 비싸게 팔고 싶으면 아르바이트생을 동원해서 온 동네 부동산을 쑤시고 다니게 하라”고 농담조로 말했다. 이처럼 장기간 부동산 침체와 개포 재건축 정비구역 지정이 지연되면서 한 두 사람으로 인해 매매가격이 흔들리는 민감한 시장 상황이 연출됐다.

서울부동산광장에 따르면 올 들어 개포주공 2~4단지 통틀어 계약일 기준으로 1건의 계약이 성사됐다. 지난해 12월 33건과 비교하면 확연히 차이가 난다.

개포주공2·4단지는 지난해 11월 7일 도시계획위원회에서 정비구역 지정이 보류됐고, 지난달 초 소위원회가 열린 이후 더 이상의 진행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소위원회 위원들은 선거를 앞두고 각자의 지역구에 상주하고 있고, 교수로 활동 중인 위원들은 해외 세미나에 참석해 소집이 어려운 상황이다.

지난달 취·등록세 감면 혜택 종료 이후 거래는 더욱 찾아보기 힘들어졌다. B공인중개 관계자는 “소위원회조차도 잘 이뤄지지 않는데 거래가 잘 이뤄질리 있냐”며 “지난달 취·등록세 감면 혜택 종료 이후 문의전화도 뚝 끊겼다”고 푸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