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 바닥이 없네…공급 해지 줄이어

입력 2012-01-11 09:3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신재생에너지로 주목받던 태양광산업이 끝 모를 추락을 거듭하면서 관련 기업들의 공급 계약 축소·해지 공시가 줄을 잇고 있다. 반면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가 주도하는 산업 구조조정 효과로 글로벌 공급과잉 압력이 낮아질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한다.

태양광 대장주인 OCI는 지난 9일 2건의 대규모 공급 계약 해지 사실을 공시했다.

OCI는 이날 미국 태양광업체인 Evergreen Solar와 체결했던 1428억3826만원, 1791억1533만원 규모의 두건의 폴리실리콘 공급 계약이 해지됐다고 밝혔다.

회사측은 “계약상대방의 기업회생 절차 진행 중 미국 델라웨어 주 파산법원이 해당 계약을 ‘Reject’(계약이행 거절)로 결정된 사실을 공지했다”고 밝혔다.

웅진에너지 역시 지난해 12월 이후 총 5건의 공시를 통해 계약 해지나 축소 사실을 알렸다.

삼성SDI와 체결했던 태양전지용 고순도 단결정 웨이퍼 공급계약 금액이 410억7189만원에서 246억6300만원으로 축소됐다고 공시한 것을 비롯해 신성홀딩스와의 공급계약 역시 1271억5720만원에서 726억4211만원으로 줄었다고 각각 공시했다.

이밖에 제스솔라(37억4610만원), 유니텍솔라(238억2187만원), 현대중공업(237억4370만원)의 계약 해지 사실을 알렸다.

회사측은 “글로벌 업황 부진 및 공급 과잉 등으로 인한 가격 변동에 따른 조치”라고 설명했다.

다른 태양광업체들도 예외는 아니다. 신성솔라에너지는 지난해 12월 30일 BG Solar Panels(73억5229만원), Canadian Solar(190억4347만원)와 체결했던 공급 계약 해지를, SKC솔믹스는 신성솔라에너지(390억3082만원)와의 계약 해지 사실을 공시했다.

한병화 현대증권 연구원은 글로벌 태양광 시장의 가장 큰 걸림돌은 EU 국가들의 재정위기와 중국업체들의 공급과잉 문제라고 지적했다.

한 연구원은 “EU의 재정위기로 인한 프로젝트 파이낸싱 여건의 악화는 예측하기 쉬운 요소가 아니지만 중국의 공급과잉 문제는 정부의 정책에 좌우되기 때문에 예측이 가능하다”며 “중국 정부가 주도하는 태양광 산업의 구조조정이 본격화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 경우 현재 글로벌 공급과잉 압력이 낮아질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