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주택 전세가격 상승세가 크게 둔화되고 집값 상승폭도 지난해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8일 국토연구원 부동산시장연구센터가 조사한 '올해 부동산 시장 전망치'에 따르면 전국 주택 전셋값은 3.3~3.5% 오를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동산시장 진단 및 전망모형(K-REMAP)을 이용해 조사한 결과치로 지난해 전국 전셋값이 12.3% 오른 것을 고려하면 상승폭이 3분의 1 이상 줄어드는 것이다.
수도권의 전셋값은 2.8~3% 올라 역시 지난해(11%)에 비해 상승세가 크게 둔화될 것으로 예측됐다.
연구원은 최근 2년 간 전셋값이 급등한 것에 따른 가격 조정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아파트를 제외한 도시형 생활주택·다세대 등 일반 주택의 입주물량이 늘어나면서 전셋값 상승폭이 둔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주택 입주물량은 전국 35만4000가구, 수도권 21만1000가구로 지난해보다 각각 1만5000가구와 2만5000 가구가 증가한다.
전국 주택 매매가격도 전년 말 대비 3.5~3.6% 오르면서 지난해(6.9%) 대비 상승폭이 절반 가까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이 가운데 수도권은 올해와 마찬가지로 0.5~0.6% 올라 사실상 보합세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됐다.
연구원은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에 따른 주택 관망수요가 늘어나는데다 미분양 주택의 적체와 주택 입주물량 증가 등에 영향을 받아 보합세가 예상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