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주의장바구니]‘배추’ 대신 ‘무’대신

입력 2012-01-05 10:2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이번주는 배추 김치 대신 무김치 만들기가 유리할 전망이다. 5일 농협유통에 따르면 배추(3입/망)은 지난주 대비 500원(16.7%)오른 3500원였지만 무(개)가격은 전주대비 310원(25.8%)내린 890원으로 나타났다.

농협유통은 배추 폭등에 대해 월동용 배추 저장작업과 출하작업이 병행 중이나 기상여건 악화로 지연되고 있어 공급량이 줄어들었다는 설명이다. 김장 종료 후 소비량 감소세가 지속되기는 하지만 물량 부족 상황을 타개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설명이다. 반면 무의 경우 제주 월동무 공급량은 일정수준 유지되고 있으나 소비는 부진해 가격 폭락 현상으로 이어졌다.

대파(단)는 1250원으로 공급량은 안정적으로 공급되고 있으며 소비 역시 큰 변동 없어 가격변동이 없었다.

양파(3kg)는 전주대비 220원(5.9%)내린 3480원으로 공급과 소비는 일정 수준 유지되고 있으나 출하산지 재고량이 많아 시세 약세 지속되고 있다.

과일은 소폭 오름세다. 단감(5kg)은 전주대비 3000원(15.1%)오른 2만2900원으로 저장 작업분 출하로 공급량은 일정 수준 유지되고 있지만 소비가 전주대비 늘어나 가격이 올랐다. 딸기(500g)도 7900원으로 전주대비 700원(9.7%)올랐다. 출하 산지별 본격 출하기간으로 공급량이 늘어나고 있지만 제철 맞아 소비도 함께 증가했기 때문이다.

사과(봉지/6입) 는 연말연시 일시적 소비증가세이며 공급량은 설 명절을 대비하여 대과 출하 보류 중으로 공급량은 감소세다. 가격은 전주대비 100원(2%)오른 5000원이다. 감귤(5kg/박스)은 전주와 같은 1만3900원으로 저장작업이 완료되어 공급량은 안정세이며 소비는 큰 변동없이 일정 수준 유지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