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7대책 효과 없어…재건축 계속 하락

입력 2012-01-04 10:21수정 2012-01-04 10:2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주택거래활성화와 서민 주거안정 지원방안을 골자로 한 12.7 부동산 대책이 발표 된지 한 달이 다 돼가지만, 거래는 여전히 위축되고 가격도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부동산1번지가 지난달 재건축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을 조사한 결과 서울은 0.02%, 경기도는 0.07% 각각 떨어졌다.

지역별 하락률을 보면 과천시가 0.28%로 가장 컸고 서울 강남구 0.26%, 서울 서초구 0.18%, 서울 강동구 0.11% 등의 순이다.

12.7대책은 강남 3구의 투기과열지구 해제,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제도 폐지, 재건축 초과이익 부담금 부과 유예 등 각종 규제 완화책을 담고 있어 주택경기 부양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됐지만 별 효과를 보지 못한 셈이다.

대책 발표 직 후에는 서울 강남권을 중심으로 주요 재건축 아파트 가격이 5000만원 가량 오르기도 했지만 상승세는 오래가지 않고 내림세로 돌아섰다.

재건축 집주인들이 가격을 올려도 매수세가 따라붙지 않자 매매가격을 내려 매물을 내놓으면서 이런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강남구 개포동 주공1단지 59㎡가 11억8000만~12억원 선으로 대책 전보다 2500만원 가량 내렸고, 대치동 은마 102㎡도 8억6000만~9억2000만원 선으로 1000만원 하락했다. 강동구 둔촌주공4단지 82㎡도 4500만원이 빠져 6억1000만~6억3000만원 선으로 조사됐다.

거래 또한 늘지 않았다. 서울부동산광장에 따르면 12월 서울 강남4구(강남, 강동, 서초, 송파구)의 1000가구 이상 재건축 단지의 거래량은 총 188건으로, 지난해 동기 295건에 비해 약 36.27% 줄었다. 서초구가 60건에서 13건으로 가장 많이 감소했고, 강동구가 71건에서 45건으로 그 뒤를 이었다.

부동산1번지 김지연 팀장은 “글로벌 금융위기와 국내 부동산 경기 침체로 매수심리가 여전히 얼어붙은 가운데 서울시가 반포아파트 지구 개발 기본계획 변경, 삼성동 홍실 아파트의 종상향, 반포한양 아파트의 용적률 상향 요청을 보류 한데 이어 강남권 등 재건축단지의 종상향을 엄격히 제한하겠다고 밝혀 재건축 시장은 더욱 위축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