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모델링 수평증축 통과…분당 ‘활짝’

입력 2011-12-28 14:1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1기 신도시인 분당 지역에 대한 기대감이 다시 한번 높아지고 있다.

최근 수평·별동 증축을 통한 리모델링 활성화 방안을 담은 주택법 개정안을 국회를 통과함에 따라 그동안 답보 상태에 빠졌던 리모델링 사업이 활기를 띨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가 분당 신도시 리모델링 가능 아파트(준공년도15년 이상, 500가구 이상) 7만345가구의 용적률을 조사한 결과, 이 중 3만3347가구가 용도지역별 허용기준 용적률보다 낮게 적용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28일 밝혔다. 이들 지역을 대상으로 수평·별동 증축으로 인한 리모델링 추진 시 사업 수익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어 정자동에 위치한 한솔주공6단지는 1995년에 준공된 아파트로 용도지역은 제3종 주거지역으로 분류됐다. 이 아파트는 용적률 허용기준이 200%이상~300%이하가 적용되는데 실제 용적률은 173%로 허용기준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따라서 용적률을 높이고 수평·별동 증축으로 가구수를 늘린다면, 전체 가구수의 최대 10%까지 일반 분양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합원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여 사업성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분당 인근 중개업소는 “부동산 경기가 워낙 침체돼 있어 투자자들이 체감하는 속도는 더디다”면서 “향후 소형, 복도식 아파트의 경우 앞·뒤 뿐만 아니라 옆으로도 늘릴 수 있게 돼 리모델링 투자처로 인기가 높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지만 이번 개정안으로 모든 리모델링 대상 단지가 수혜를 입은 것은 아니다. 용적률이 높거나 대지면적이 좁은 아파트는 수평·별동 증축이 사실상 어렵다. 반면 용적률이 낮고 땅이 넓은 분당의 저밀도 아파트 단지들은 사업성이 개선돼 혜택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부동산써브 관계자는 “다만 분당신도시가 수평·별동 증축으로 리모델링이 진행될 경우 동간 거리가 좁아지는 등 단지 밀도가 높아져 주거 환경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어 부작용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