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절반 이상 “물가 상승이 내년 가계 최대 부담 요인”

입력 2011-12-27 16:4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가계 불안요인으로 가계부채·소득감소·자산가치 하락 등 꼽아

소비자 2명 중 1명은 내년 가계에 가장 큰 부담 요인으로 물가상승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수도권 소비자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2012년 가계 불안 요인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 결과, 응답자의 54.6%가 내년 가계 최대 부담으로 물가 불안을 꼽았다. 다음으로 가계 부채(26.2%), 소득 감소(13.4%), 자산가치 하락(5.4%)을 지적했다.

대한상의는 “경기침체로 가계소득이 늘지 않는 상황에서 물가마저 오른다면 실질 구매능력이 크게 감소될 것을 우려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소비자들은 내년도 물가불안이 가장 우려되는 품목으로 공공요금(31.8%)이라 답했으며, 뒤이어 주거·난방비(21.0%), 식비(13.8%), 대출 이자(12.4%), 교육비(11.8%) 순으로 답했다.

응답자의 64.6%은 올해 물가가 크게 올랐다고 느꼈으며, 품종별로는 식료품(38.8%)이 가장 많이 올랐다고 응답했다. 뒤를 이어 주거·난방비(21.0%), 농·축·수산물(10.6%), 교통비(9.5%), 통신비(8.7%) 순으로 대답했다.

한편 올해 증가한 가계부채에 대해서도 우려가 커지고 있다. 작년과 비교한 올해 가계부채를 묻는 질문에는 늘었다는 응답이 45.5%로 줄었다(8.8%)는 답변보다 월등히 많았다.

특히 이자수준에 대한 질문에도 올해보다는 다소 상승할 것(91.6%)이라는 응답이 대부분이어서 가계부채에 따른 이자부담도 가계 불안요인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전망이다.

가계 불안요인 요인 중 물가안정을 위한 정책과제로는 우선 공공요금 인상억제(40.5%)가 중요하다고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기름값 안정(24.3%), 수급조절 통한 농·축산물 가격안정(13.6%), 부동산 시세 안정(13.4%) 순으로 답했다.

손영기 대한상의 거시경제팀장은 “내년에는 물가상승, 가계부채 등으로 가계의 소비여력이 크게 줄어들면서 경기침체를 심화시킬 가능성이 있다”면서 “공공요금 인상억제, 집세 안정 등을 통해 가계 부담을 줄여주는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통해 소비가 급속히 위축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