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쓰레기 6.7% 외국서 온다…대부분 중국산

입력 2011-12-27 0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해외에서 발생해 국내로 들어온 해양쓰레기가 전체 해양쓰레기의 6.7%(개수 기준)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외국기인 해양쓰레기의 대부분은 중국산인 것으로 드러났다.

국토해양부는 27일 한국수자원공사 수도권본부에서 올해‘국가해양쓰레기 모니터링’최종보고회를 열고, 모니터링 결과를 이날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올해 조사지점에 표착한 해양쓰레기는 5만5270개, 외국기인 쓰레기는 3386개였다. 외국에서 발생한 해양쓰레기가 전체 해양쓰레기의 6.7%에 해당하는 셈이다.

외국기인 해양쓰레기 모니터링은 전국 20개 해안에서 격월로 조사지점 100m 안의 쓰레기를 수거해 품목별, 오염원별로 조사한다.

외국기인 해양쓰레기 중 발생원을 추정할 수 있는 3114개를 조사한 결과, 중국을 비롯해 동남아시아 등에서 발생한 쓰레기가 우리나라 해안에 표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국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쓰레기는 전체의 96.4%(3002개)로 집계됐다. 외국기인 해양쓰레기의 국가 및 지역 추정은 음료수병·병뚜껑·음식 및 세제 포장재·라이터·의료폐기물의 글자·상표·바코드·재활용 마크·제조지·전화번호·배포자 상호 등의 조사를 통해 이뤄진다.

또 외국기인 해양쓰레기는 조류와 해풍을 타고 국적의 구분 없이 이동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국토해양부 관계자는 “외국기인 해양쓰레기의 발생 실태와 원인을 파악하고 외국기인 쓰레기에 대응하기 위한 조사를 지속하는 한편, 북서태평양 해양보전 실천계획(NOWPAP) 등의 국제기구와 협력을 통한 해양쓰레기 저감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국은 ‘NOWPAP’회원국으로 해양쓰레기 관리 정책을 추진중이다. NOWPAP은 한·중·일·러 4개국이 회원국인 유엔환경계획(UNEP) 산하의 국제기구로 ‘지역해 해양쓰레기 사업계획’을 통해 해양쓰레기 저감에 공동협력하는 기구다. 이밖에도 정부는 2008년 제1차 해양쓰레기 관리 기본계획(2008~2013)을 수립, 시행중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