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 증자… ‘거침없는’이팔성 회장

입력 2011-12-26 13:41수정 2011-12-26 15:1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민영화 등 이슈 마구 쏟아내…“의욕 앞섰다” 지적도

이팔성 우리금융지주 회장이 최근 동양생명 인수검토, 광주·경남은행 증자 추진 등 굵직한 사업계획을 잇따라 쏟아낸데다 민영화와 같은 민감한 이슈에 대해서도 거침없는 목소리를 내며 적극적인 행보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금융권 일각에선 이같은 이 회장의 발언이 대주주인 정부와 사전협의 없는 오버플레이로 의욕만 앞세운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금융은 최근 한달새 한국거래소로부터 두 차례 조회공시 요구를 받았다. ‘대규모 증자 추진’ 보도와 ‘동양생명 인수검토’ 보도에 대해서다.

이는 이팔성 회장의 발언에서 비롯됐다. 이 회장은 지난 22일 “광주·경남은행에 대해 내년 3월께 증자를 생각중”이라고 언급하면서 우리금융 자체의 대규모 증자설까지 흘러나왔다. 앞서 이 회장은 지난달 30일 “동양생명 지분인수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고경영자(CEO)인 이 회장의 이같은 발언에 대해 시장이 뜨겁게 반응을 한 것이다.

하지만 우리금융은 공식적으로 이 회장의 발언을 부인했다. 우리금융은 조회공시 답변을 통해 “현재 유상증자 추진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동양생명 인수에 대해서도 “비지니스 포트폴리오 최적화를 위해 동양생명의 인수추진을 검토 중이나 현재 확정된 내용은 없다”며 수위를 낮췄다.

이를 두고 금융권 안팎에선 이 회장이 사업재편에 대한 의욕이 너무 앞선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금융권 고위 관계자는 “최고경영자의 발언까지 뒤짚거나 수위를 조절하는 것은 쉽지 않다”면서 “지주 내 충분한 공감보다는 (이 회장의) 의욕이 앞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우리금융의 대주주인 예금보험공사 관계자도 “사전협의도 없이 증자나 지분인수에 대해 나온 얘기”라며 앞선 의욕을 지적했다.

지난 4월부터 추진해 온 카드분사 때도 마찮가지였다. 이 회장이 연내 카드부문 분사를 마무리하겠다고 밝히자, 예보는 “공식적으로 전달 받은 게 없다. 경영자율권을 침해할 수 없지만 대주주로서 대규모 비용이 들어가는 것은 검토해야 한다”며 불편한 심기를 나타냈다.

민영화 재추진도 상황은 비슷하다. 이 회장은 “내년 상반기에 민영화가 재추진될 것”이라고 말했지만 민영화 추진을 결정하는 공적자금위원회와 어떤 사전교감도 없었다는 지적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추가 성장동력을 확보해야 하는 이팔성 회장으로써는 신규사업 발굴과 불확실성(민영화)을 제거야 한다”면서 “하지만 과도한 의욕으로 인해 정부 정책과 엇박차를 내면 정작 필요한 것은 얻지 못할 수도 있는 만큼 정부와 보조를 맞춰야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