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사망 등 북한변수, 보수정당에 유리한 결과 안겼다

입력 2011-12-25 09:5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역대 주요 선거서 ‘북한 변수’ 영향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사망이 내년 총선·대선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동안 북한 변수는 국내 정치와 경제에 예민한 변수로 작용해온 것이 사실이다. 전문가들은 김정일 사망과 김정은 후계구도 안착과정이 어떠한 형태로는 국내 정치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고 있다다. 남북간 긴장을 고조시킨 사건들은 대체로 보수 정당에 유리한 결과를 낳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1987년 11월29일 미얀마 벵골만 상공에서 KAL858기가 폭발해 승객 115명이 전원 사망한 것이 국내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다. 투표일을 불과 10여일 앞둔 북한 공작원에 의한 테러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민정당 노태우 후보의 당선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1992년 14대 대선에서 민자당 김영삼, 민주당 김대중, 국민당 정주영 등 3명의 후보가 ‘3파전’을 벌이고 있는 와중에 국가안전기획부(현 국가정보원)는 투표를 2개월 앞두고 ‘남한 조선노동당 중부지역당 사건’을 발표했다. 김대중 후보의 측근이 이 사건에 연루된 혐의로 구속됐고, 결국 김영삼 후보가 승리를 거머쥐었다.

2001년 8·15 민족통일 대축전 파문 속에 치러진 10·26 재보선과 2002년 6월 서해교전에 이은 8·8 재보선은 야당이었던 한나라당이 모두 압승했다.

하지만 2002년 16대 대선에서는 6월 서해교전과 10월 북한의 고농축 우라늄 계획 인정 등으로 남북간 긴장이 고조됐지만 노무현 새천년민주당 후보가 이회창 한나라당 후보를 누르고 대통령에 당선됐다. 2010년 3월 천안함 피격 사건 이후 치러진 6·2 지방선거에서도 한나라당은 안보 이슈를 전면에 내세웠으나 참패했다.

올해 7월 왕재산 간첩단 사건과 북한의 김관진 국방장관 암살시도 첩보 등도 10·26 재보선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