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수도 등 7대 지하시설물 자동갱신시스템 市 확대

입력 2011-12-19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토해양부는 서울시 등 전국 82개 모든 시(市)를 대상으로 상·하수도 관로 등 7대 지하시설물 정보를 갱신할 수 있는 자동갱신시스템 확산을 완료했다고 19일 밝혔다.

적용대상은 △상수도, △하수도, △전기, △가스, △통신, △송유, △난방 등 7대 지하시설물 정보다.

이번 자동갱신시스템은 전국 지자체에서 지하시설물 정보를 수정할 경우 국토부의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자동으로 갱신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는 국가에서 지자체에 보급하는 웹기반 시설물관리시스템 등 4가지 지하시설물 활용시스템의 하나이다.

정부는 자동갱신시스템에 대해 도로법에 따라 주요 지하매설물 설치공사를 시행한 자가 제출하는 준공도면의 정확도를 자동 검사하고, 관련부서간 연계업무를 온라인화 했다.

특히, 지하시설물을 되메우기한 후 지하탐사장비로 매설관의 위치를 간접 조사하는 방식이 아닌 매설관이 노출된 상태에서의 측량이 가능해 졌다. 이로써 정밀한 정보취득이 가능해져 연간 약 200억원 이상 소요되던 지하시설물 갱신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게 정부측의 설명이다.

국토부는 앞서 지난 1995년 대구지하철 가스폭발사고 등을 계기로 지하에 매설된 지하시설물의 위치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해 대형 재난사고를 방지하는 지하시설물 전산화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그간 구축 데이터에 대한 높은 갱신비용과 관련부서간의 업무연계 미흡으로 데이터 최신성 유지에 많은 어려움을 겪어 왔다.

국토부 관계자는 “지자체 담당자들이 준공도면을 활용해 쉽게 수정할 수 있도록 자동갱신시스템을 개발해 보급하게 됐다”며 “내년부터는 군지역을 대상으로 단계적으로 시스템 보급을 확대해 2015년 전국 단위의 지하시설물 통합관리체계를 완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