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탈당 부른 ‘당개혁’ 시나리오 수면위로

입력 2011-12-14 11:11수정 2011-12-14 14:0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재창당 → 세확산 → 대권… 줄탈당은 불투명

한나라당내 개혁성향인 쇄신파 의원들의 ‘당 개혁’ 시나리오 밑그림이 드러나고 있다.

정태근 의원이 탈당을 선언하고 권영진 김성식 의원 등이 탈당의사를 밝힌 것도 예정된 수순이었다는 지적이다.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 패배 이후 당 쇄신 논의에 불을 댕긴 이들의 탈당 명분은 기득권 세력인 친박(친박근혜)계의 ‘재창당’ 거부다.

친박계에선 재창당을 할 경우 박근혜 전 대표의 입지가 ‘재창당 준비위원장’ 수준에 그칠 것이란 반대논리를 세웠다. 이해 관계를 떠나 재창당으로 인해 생기는 당의 강제 재산처분과 날아가는 국고보조금, 당의 불투명한 일정에 따른 총선 예비후보등록 지연 등은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

이런 리스크에도 쇄신파에서 재창당을 요구하고 나선 건 공천과 내년 총선 당선에 대한 불안감이 크게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이를 돌파하고 당내 입지를 다지기 위해선 ‘세확산’이 불가피했을 것이란 해석이다.

실제 재창당을 통해 중도개혁 성향 인사들을 끌어 들이려 했던 게 쇄신파의 전략이기도 하다. 여기에는 개혁성향의 선명성을 위한 ‘박근혜 흔들기’와 김문수 정몽준 등 비주류 대선주자의 입지를 넓히기 위한 의도도 담겨있다.

이런 일정들이 잘 풀리지 않았을 때의 차선책이 바로 탈당이다. 쇄신파 중 일부는 끊임 없이 외부 인사들과 접촉을 해왔다. 박세일 한반도선진화재단 이사장이 주도해 14일 창당을 선언한 ‘대중도통합신당’ 측과도 은밀히 만나왔다.

특히 쇄신파 핵심으로, 탈당을 예고한 김성식 의원의 행보가 눈길을 끈다. 김 의원은 박 이사장과 신당의 필요성에 상당부분 공감대를 이룬 김문수 경기지사와 가깝게 지내고 있다. 일각에선 김 의원이 안철수 서울대 교수와 부산고·서울대 선후배 관계라는 점을 들어 김 지사와 안 교수 사이에 가교역할을 맡고 있다는 얘기도 있다.

조기 전당대회를 촉구한 정몽준 전 대표나 이재오 의원도 김 지사와 비슷한 제스처를 취해왔다. 다만 이 의원은 현재 당 내분을 관망만 하고 있는 상태다. 한나라당 핵심관계자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김문수, 정몽준, 이재오, 쇄신파 의원 등 반(反)박근혜 세력은 신당합류가 여의치 않으면 한나라당과 신당 간 합당 내지 연대의 중추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현재 한나라당 내에선 탈당을 만류하는 분위기가 강해 줄탈당 사태가 빚어질 가능성은 그리 크지 않아 보인다. 다만 재창당 당론이 무산됐을 땐 몇몇이 탈당대열에 뛰어들 것이란 전망도 있다. 정두언 의원은 “재창당이 안될 경우 ‘이대로 같이 갈 수 없다’고 생각하는 의원들이 꽤 있다”며 추가 탈당할 의원들이 제법 있을 것처럼 얘기했다. 정 의원 역시 탈당을 고민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