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1억원 미만 아파트 절반으로 ‘뚝’

입력 2011-12-14 10:4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최근 2년간 서울에서 1억원 미만으로 살수 있는 저가 전세 아파트는 절반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4억 이상 고가 전세는 배 가까이 증가했다.

14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번지가 최근 2년간 서울 소재 아파트를 대상으로 전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1억원 미만 아파트가 10만2281가구에서 5만5445가구로 4만6836가구(-45.79%) 감소해 절반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1억원대도 49만2560가구에서 36만4055가구로 12만8505가구(-26.09%)가 사라져 저가 아파트의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같은 기간 4억원 이상 고가 전세는 7만7181가구에서 15만2629가구로 7만5448가구(97.75%)가 늘어 2배 가량 증가했다.

또 2억원대는 28만6449가구에서 40만721가구로 11만4272가구(39.89%)가구, 3억원대는 9만7453가구에서 15만2768가구로 5만5315가구(56.76%)가 늘었다.

이로써 서울 전체 아파트에서 가격대별로 차지하는 비중도 저가는 크게 줄어든 반면 고가는 큰 폭으로 증가했다. 1억원 미만은 9.69%에서 4.93%, 1억원대는 46.65%에서 32.44%로 줄었다.

반면 2억원대는 27.13%에서 35.60%로 늘었고 3억원대는 9.23%에서 13.57%, 4억원 이상은 7.31%에서 13. 56%로 늘어났다.

이에 따라 서울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던 전세아파트의 가격대가 1억원대에서 2억원대로 옮겨졌다.

경기지역 같은 양상을 보였다. 1억원 미만은 54만3500가구에서 37만2568가구로 17만932가구(31.45%)가 감소한 반면 4억 이상은 4993가구에서 1만4941가구로 3배 가량 증가했다.

부동산1번지 관계자는“최근 전세값이 안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2년간 20% 이상 급등해 전체적인 아파트 가격이 상향이동 했다”면서 “내년에도 입주물량이 40% 가량 줄어드는데다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 이주도 예정된 만큼 전세난의 불씨는 여전히 남아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