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안주민 기름유출 4년 지나도 건강상태 심각

입력 2011-12-14 08:1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충남 태안 기름유출 사고가 일어난 지 4년이 지났지만 인근 주민이 아직까지 그 여파에 시달리고 있다. 건강상태가 폐금속광산 지역 주민과 비교해도 더 나쁜 수준이다.

14일 태안환경보건센터가 공개한 '방제지역 주민 건강영향지표 추적조사 연구' 보고서를 따르면, 지난해 10~11월 측정한 태안 방제지역 주민 271명의 소변에서 측정한 말론디알데하이드(MDA) 농도는 평균 2.40μmol/g-크레아티닌으로 폐금속광산 주민보다 1.5~2배 높고 공단 인근 주민보다는 3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MDA는 세포막의 지질과 활성산소가 반응해 만들어지는 지질 과산화물. 세포와 조직에 염증이 일어나는 '산화 스트레스'를 나타내는 지표로 널리 쓰이며, 그 자체로 세포막과 DNA에 장애를 주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기타 산화 스트레스 지표를 나타내는 지수도 폐금속 광산주민, 호흡기질환자의 갑절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이 지나도 사고해역 인근 주민의 건강상태가 크게 회복되지 않고 있다는 뜻이다.

태안환경보건센터는 "산화 스트레스가 지속적으로 일어나면 면역체계의 이상을 가져오거나 심하면 암을 유발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며 그 위험성을 언급하고 있다.

태안환경보건센터는 15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유류오염 피해지역 주민의 중장기 건강영향관리 어떻게 할 것인가'를 주제로 열리는 토론회에서 이 같은 추적조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