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VIP가 뜬다] ②-2 투자 가능성 무한…인도네시아 인프라 시장

입력 2011-12-13 10: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인도네시아의 매력은 6%대에 이르는 경제성장률과 인구 증가율에 비해 취약한 인프라 시장이라고 닛케이비즈니스는 최근 보도했다.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 자카르타 사무소 관계자는 “정정이 안정되고 인구와 소득도 꾸준히 늘고 있다”며 “이를 통해 10%에 가까운 성장률을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인도네시아인들은 지난 2009년 재선에 성공한 수실로 밤방 유도요노 대통령의 임기가 계속되는 2014년 10월까지를 ‘황금기’라고 부르고 있다.

개혁을 표방한 유도요노 대통령의 정책에 힘입어 경제 성장세가 한층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인도네시아의 경제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전력·수도·가스·교통·공항·항만 같은 공공 인프라의 취약성을 꼽고 있다.

취약한 인프라가 불어나는 중산층 이상으로 해외 기업에겐 사업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 시내의 도로가 오토바이와 자동차들이 뒤엉켜 교통지옥을 방불케 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지난해 자카르타의 오토바이와 자동차의 점유 면적이 도로의 총면적을 넘어 교통이 마비될 것이라는 전망을 발표했다.

정부는 혼잡 시간대에 3명 이하 인원이 승차한 자동차 진입을 금지하는 ‘쓰리 인 원(Three in One)’ 정책을 내세우고 있지만 효과는 없다.

외국계 기업에서도 회의 30분 지연은 다반사이고, 기자 회견이 있어도 예정된 시간보다 1시간 가까이 지나서야 기자들이 모일 정도라고 닛케이는 전했다.

정부는 이같은 사실을 심각하게 받아들여 근본적인 해결에 나서고 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작년 12월 일본과 수도권투자촉진특별지역(MPA) 구상에 관한 협력을 체결했다.

양국 정부가 수도 자카르타 주변의 인프라 정비에 민간기업의 참여를 촉진하는 ‘PPP(퍼블릭 프라이빗 파트너십)’ 방식 등을 활용한다는 내용이 골자다.

닛케이비즈니스는 인도네시아 인프라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건설 비용을 전면에 내세워서는 안된다고 조언했다.

인도네시아는 초기 투자를 중시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장기 유지·관리 비용을 포함해 사업 계획을 구체적으로 설명해야 한다는 것이다.

일본 기업들은 인도네시아에서 지열 발전소 건설에 주목하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현재 국토의 60% 이상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고 있다.

정부는 자급자족이 가능한 지열 에너지 의존도를 높일 계획이다.

인도네시아는 지열을 적극 활용해 석탄과 천연가스는 수출로 돌려 외화 확보에 주력할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