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탄소시장 살아나나

입력 2011-12-12 09:4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유엔, 교토의정서 연장 등 합의…사상 최저치 찍은 탄소배출권 가격 반등할 듯

글로벌 탄소배출권 거래시장이 다시 활기를 띨 전망이라고 11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전문가들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더반에서 열린 제17차 유엔기후협약 당사국총회에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의미있는 합의가 이뤄졌다는 것에 주목하고 있다.

이날 194개 참가국은 선진국의 온실가스 감축을 의무화한 교토의정서를 오는 2017년까지 최소 5년 더 연장하고 오는 2020년에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모든 국가가 참여하는 새 의정서 체제를 출범시키로 합의했다.

새 의정서 체제에는 세계에서 온실가스를 가장 많이 배출하는 미국과 중국, 인도 등도 참여해 실효성이 확대될 전망이라고 FT는 전했다.

이에 최근 극도의 부진을 보인 탄소배출권 거래 시장이 살아날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탄소배출권 가격은 최근 수주 동안 세계 최대 탄소시장인 유로존(유로화 사용국)이 재정위기로 타격을 입고 유엔 기후협약이 별 다른 진전을 보이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로 급락세를 보였다.

유엔 인증 탄소배출권(CER) 가격은 지난달 24일 t당 5.90유로로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CER 가격은 지난 6월 이후 50% 이상 하락했다.

유럽탄소배출권(EUA) 가격도 지난달 25일 t당 6.90유로로 사상 최저치를 찍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의 아비드 카말리 탄소시장 부문 글로벌 대표는 “이번 합의는 탄소시장에 비아그라를 공급한 것과 마찬가지”라며 “투자자들의 저탄소 배출 기술과 탄소배출권 등에 대한 관심이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더반 회의에서 참가국들은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처를 지원하기 위해 연간 1000억달러(약 115조원) 규모의 녹색기후기금(GCF)을 조성하기로 합의했다.

발전소나 공장 등에서 배출한 대량의 이산화탄소를 분리·회수해 지하 또는 해저에 매장하는 기술인 이산화탄소 포집·저장기술(CCS)을 통한 탄소가스 감축분도 CER 시장에서 거래가 가능해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