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내년증시 발목 잡나

입력 2011-12-09 09:4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경기침체와 부동산시장 불황으로 국내 가계부채 문제가 불거지면서 내년 국내 증시에 악재로 작용할 지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8일 금융통화위원회는 4%를 넘는 물가와 900조원에 육박하는 가계부채가 부담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해야 하지만 경기둔화 우려로 결국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유럽발 금융위기가 재점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현실적으로 기준금리로 가계부채 문제를 해결하기 힘든 딜레마에 빠진 것이다.

전문가들은 내년이 가계부채 문제의 원년이 될 가능성이 높아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또한 가계부채 문제가 국내 증시에서 2008년 금융위기와 같은 악재로 돌변할 가능성은 없지만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했다.

오창섭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내년에는 주택담보 상환능력 취약대출의 21% 가량의 만기도래가 예정돼 있어 가계부채 문제의 원년이 될 가능성이 높다”며 “가계부채 문제의 연착륙이실패할 경우 일본과 같은 장기불황에 빠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주의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소재용 하나대투증권 연구원은 “선진국 재정위기와 저성장 위험으로 수출이 둔화되는 가운데 가계부채 부담 등도 소비를 비롯한 내수의 탄력을 제한할 것으로 보인다”며 “2008년과 같은 금융위기를 야기할 정도는 아니나 국내의 부채 문제는 요주의 대상”이라고 밝혔다.

다만 소 연구원은 “상반기 중 가시적인 회복을 기대하기 어려우나 점진적인 글로벌 불확실성 진정과 통화완화 등과 맞물려 하반기에는 다소나마 경제여건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가계 부채 문제가 내년 국내 증시에 부담을 줄 가능성이 높지만 가계부채 문제의 핵심인 부동산 가격 급락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증시의 방향성을 바꿀 만큼의 큰 악재는 아닌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했다. 다만 가계부채 문제로 인한 소비 위축으로 내수업종에 부담을 줄 가능성은 높은 것으로 예상됐다. 또한 가계대출 부실 우려가 있는 대부업과 저축은행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됐다.민동원 현대증권 연구원은 “우리나라 가계의 부채상환능력과 주택담보대출의 자산건전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가계부채가 단시일내 부실화 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며 “하지만 금융업권별 차별화로 상대적으로 대부업, 저축은행 등이 가장 먼저 가계부채 문제의 부정적인 영향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