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병원 신임 은행연합회장이 내놓을 새로운 ‘은행 산업의 성장과 역량강화’ 방안에 벌써부터 관심이 쏠린다. 박 회장이 ‘경제통’이었던 만큼 어떤 것을 제안할 지 기대가 높기 때문이다.
최근 은행연합회의 관심사는 은행채에 지급준비금(예금 인출에 대비해 일정금액을 한국은행에 예치하는 것)을 부과하는 것이었다. 한은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은행채에 대한 지준 부과가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은행들은 당시 거세게 반발했다. 지준 부과 대상을 늘리면 그만큼 은행의 경쟁력과 수익성이 떨어진다는 이유에서였다.
신동규 전 회장도 반대 논리를 펼쳤지만 충분치 못했다는 평이다. 당시 은행권에서는 한은이 “두 발짝 나가면 그제서야 한 발짝 나간다”는 볼멘소리가 나왔다. 지준 부과 대상을 축소해야 하는 논리를 정교하게 만들지 못했다는 것이다.
은행채 지준 부과와 관련 박 회장의 역할은 남아있다. 한은법 개정안 시행령은 아직 최종 확정되지 않았다. 특수채를 지준 부과 대상이 포함할 것으로 알려졌지만 은행채의 만기 제한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거리다. 지준 부과의 당위성 논란을 떠나 은행권이 박 회장에게 바라는 바가 남아있다는 것이다.
신 전 회장이 금융상품 개발에 힘썼다면 박 회장은 은행 산업 발전을 위한 제도 개선에 힘써야 한다는 것이 은행권의 공통된 목소리다. 신 전 회장은 코픽스 금리, 새희망홀씨 대출 등의 상품을 정치권 등과 함께 만들었다.
하지만 박 회장은 취임사부터 은행 산업 발전에 방점을 찍었다. 그는 지난달 30일 취임식 때 “은행산업 성장을 위한 제도 개선 과제와 아이디어를 적극 발굴하고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이어“연합회도 자체 해외 네트워크를 강화해 은행의 해외진출을 측면에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덧붙였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권이 해외 진출이 신속히 이뤄지기 위한 제도적 뒷받침이 부족하다”며 “박 회장이 제도 개선을 위해 목소리를 내줘야 할 때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