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고령화 사회가 진행되면서 100세 시대를 대비한 복지정책 학술세미나가 개최한다.
기획재정부는 농림수산식품부, 고용노동부 등 정부 11개 부처와 경제인문사회연구회가 ‘역동적인 100세 사회 어떻게 만들어야 하나’라는 주제로 오는 8일 서울 중구 남대문로 소재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100세 시대 종합 콘퍼런스를 연다고 7일 밝혔다.
정부는 이번 콘퍼런스에 대해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됐던 연구를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100세 시대의 중요성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12명의 주요 인사들이 100세 시대에 앞두고 있는 우리나라에 필요한 대비책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서울대 행정대학원 이수영 교수는 ‘100세 시대 도래의 시사점과 정책방향’에 대해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박대식 박사는 ‘농어촌 대응 방안’, 한국산업연구원 장석인 박사는 ‘산업발전 전력과 과제’에 대해서 각각 발표한다.
이수영 교수는 “100세 시대에는 정치행태에 있어 세대 간 차이가 보다 다양하게 발생하고 경력과 은퇴 개념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양태의 직업과 근로활동이 등장할 것”이라며 “사회 구성원 모두가 정책대상 집단이 되는 사회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대식 박사는 “정부에서 기본적인 생활유지를 위한 노후 소득보장, 건강보호와 장기요양서비스 등을 시급히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며 “노후가 안정된 생활유지를 위한 국민연금과 농지연금 지원 확대, 독거노인을 위한 프로그램의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