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 잃은 한나라… 박근혜, 피할 수 없는 ‘독배’

입력 2011-12-07 10:51수정 2011-12-07 13:5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결국 홍준표 체제가 7일 막을 내렸다. 쇄신을 주창했지만 지도부 자체가 쇄신 대상이 되고 말았다.

서울시 무상급식 주민투표 좌절에 이은 10.26 재보선 참패의 불길은 피했지만 디도스(DDOS) 사태의 후폭풍은 벗어나지 못했다. 일개 국회의원 9급비서 단독소행으로 치부하기엔 사태의 엄중함이 너무도 컸다. 집권여당이 국가기관인 중앙선관위와 상대측 후보 홈페이지 테러에 연루되는 사상 초유의 사태가 발생하면서 당내에선 “총선은 끝났다”는 자괴감마저 터져 나왔다.

고비마다 홍 대표를 엄호했던 친박계 핵심 유승민 최고위원은 이날 사퇴 결단을 내렸고, 도화선은 곧장 원희룡, 남경필 최고위원에게까지 이어졌다. 홍 대표는 일단 완강히 즉각 퇴진을 거부했으나 이미 돌이킬 수 없는 수순으로 진입했다는 게 당내 일치된 분석이다.

홍준표 체제가 5개월여 만에 막을 내리게 됨에 따라 초점은 박근혜 전 대표에게로 모아졌다. 현 위기를 극복할 구원투수는 박 전 대표 밖에 없다는 게 중론이다. 그러나 내년 총선 전망이 지극히 불투명한 상황에서 섣불리 전면에 나섰다가 책임론에 휩싸여 4년간 절치부심했던 대권 꿈이 날아갈 수 있다는 불안감도 터져나왔다. 이른바 ‘독배론’이다.

한 친박계 핵심의원은 이날 기자에게 “이젠 더 이상 피할 수 없게 됐다”면서 “알면서도 독배를 마셔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친박계 중진의원은 “결국 올 것이 오고야 말았다”며 “정면돌파 밖에 없다”고 말했다.

반면 지근거리에서 박 전 대표를 보좌하는 한 측근 의원은 “비대위 구성 등 대안이 여럿 있다”면서 “모든 것을 박 전 대표에게 미뤄선 안 된다”고 신중론을 폈다. 그는 정몽준·이재오·김문수 등 이른바 친이계 잠룡 3인방이 결국 홍 대표를 밀어내고 박 전 대표를 그 자리에 앉혀 책임을 덮어씌우려 한다는 음모론도 함께 제기했다.

홍 대표에게 당권을 안겨준 쇄신파 일각에선 공중분해 설도 제기했다. 이미 수도권 친이계 10여명은 당 해체모임을 결성, 당의 발전적 해체를 주장했다. 일부 의원들은 선도적 탈당에 나설 기세다. 그러나 새로운 당이 출현한다 해도 구심점이 없다는 현실적 이유로 가능성에 대한 의문도 여전하다.

한편 거대공룡 한나라당이 무너짐에 따라 야권통합은 더욱 탄력을 받게 됐다. 안철수 서울대 교수가 제3신당 창당을 전면 부인한 상황에서 대안은 야권 통합정당 밖에 없다는 자신감 또한 팽배해졌다. 전문가들은 기득권을 둘러싼 갈등으로 점철될 경우 통합의 명분은 국민에게 또 다른 정치 불신만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며 안철수 현상이 정국을 여전히 관통하고 있음을 들여다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