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신용등급 강등 솔솔, 핵폭풍으로 바뀌나

전 세계 이목이 프랑스 신용등급 강등여부에 쏠리고 있다. ‘AAA’ 신용등급인 프랑스가 17일 69억8000만 유로 어치의 국채를 매각했지만 직전보다 급등한 자금조달 비용을 지급해 신용등급 강등 얘기가 솔솔 나오기 때문이다. 이번 프랑스의 국채 매각은 5년물 발행금리가 지난달 2.31% 보다 크게 급등한 2.82%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또 이번 국채 매각이 프랑스 국채와 독일 국채의 금리 차이가 사상 최고치 경신 직후 이뤄진 것이라 신용등급 강등에 무게감을 실어주고 있다. 무엇보다도 현재 프랑스의 부정적 재정 상황과 경기 상황은 자칫 프랑스 신용등급 강등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어 전 세계 금융시장에 핵폭풍이 될 수 있다는 불안감을 심어주고 있다.

전문가들은 만일 프랑스 신용등급이 강등될 경우 지난 8월 미국 신용등급 강등 때보다 더 큰 충격을 줄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박진하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 8월 미국 신용등급 하락 때처럼 유럽 전 세계 금융시장에 큰 충격을 줬던 것처럼 유사한 양상이 시장에 나타날 것”이라며 “국내 주식시장에서도 큰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고 변동성이 큰 장세가 나타날 수 있다”고 밝혔다.

프랑스 신용등급 강등 시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박 연구원은 유럽재정안정기금(EFSF) 가용 금액 축소와 유럽 국채 투매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프랑스 은행 중심으로 자본 건전성 훼손으로 유럽은행 리스크 심화와 유로화 가치 하락으로 인한 대외 부채 부담 증가가 나타날 것으로 분석했다.

정용택 KTB투자증권 연구원도 “금융시장에서 프랑스 국가 신용등급 강등과 관련한 불안감은 쉽게 해소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며 “이로 인한 시장의 변동성 확대 가능성도 열어둘 필요가 있다”고 예상했다.

하지만 프랑스 국가 신용등급 강등이 당장 이뤄지기에는 세계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쉽게 이뤄질 가능성은 적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임동락 한양증권 연구원은 “프랑스 경제의 내재가치가 양호한 데다 프랑스 정부가 신용등급 강등을 막기 위해 추가적인 재정 긴축정책을 발표했기 때문에 당장 신용등급 하향 가능성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그는 “국내 증시가 유럽 재정 위기 불안감과 미국 경기 회복 기대감 속에서 방향성을 찾지 못하고 있어 지수레벨에 따른 박스권 대응이 필요하다”며 “프랑스 신용등급 하향 조정 가능성도 남아 있기 때문에 주의를 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