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켓 놓고 치열한 한판승부
특히 지난 2년간 제4 이통사업자 선정을 번번히 거절해 온 방송통신위원회가 연내 사업자 선정을 위한 강력한 의지를 피력한 만큼 특별한 결격 사유가 없다면 두 예비 이통사업자의 명암이 다음달에 엇갈릴 전망이다.
◇대기업 기반…자본금 튼실= 현대그룹은 제4 이통사업 참여 방침을 확정하고, 중소기업 컨소시엄인 인터넷스페이스타임(IST)와 투자 방식 및 규모에 대해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그룹 관계자는 “제4 이동통신 사업에 참여하기로 한 것은 사실”이라면서 “그러나 구체적인 규모가 확정된 것은 없다”고 말했다.
현대그룹이 참여하는 IST컨소시엄은 오는 14∼16일께 방송통신위원회에 사업허가 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주파수 할당 신청 기한은 18일이다. IST컨소시엄은 중소기업중앙회가 설립한 특수목적법인(SPC)이 최대 주주, 현대가 2대 주주의 지위를 가지게 된다. 이에 지난 8월 동부그룹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진 한국모바일인터넷(KMI)과의 본 경쟁이 시작된 셈이다.
제4 이통사업은 올해 말까지 사업자 선정을 완료하고 내년 말께 서비스를 시작한다는 일정이 짜여져 있는 상태다. 방통위가 올해까지 주파수 할당과 사업자 선정을 마무리하면 선정된 업체는 바로 통신망 구축을 시작해 내년 연말에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업권의 향배는 컨소시엄 구성의 재무적 능력이 주요 판단 기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서류심사로 사업허가가 결정되면 실질적인 변별력이 있는 분야는 재무능력이라는 것이다. 양측 모두 기존 이통 3사에 비해 통화요금은 낮추고 데이터 서비스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사업계획서 내용은 크게 다르지 않을 전망이다.
지금까지 KMI는 두번 제4 이통사업에 도전했지만 재무적 건전성 문제로 고배를 마셨다. 이에 KMI는 동부그룹 등 대기업의 참여를 이끌어내 이번에는 반드시 사업권을 따낸다는 전략이다. 그러나 중소기업중앙회의 참여로 관심을 모은 IST컨소시엄이 진통 끝에 현대그룹이 참여를 이끌어 내면서 재무적 건전성 측면에서 KMI를 앞설 것이라는 전망이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IST는 초기 자본금을 7000억∼7500억원 규모로 마련할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KMI는 초기 자본금 6300억원으로 출범해 내년 상반기까지 자본금을 1조2000억원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현대그룹 등 대기업의 관심은? = 이제 업계의 관심은 ‘IST 컨소시엄과 KMI 컨소시엄 중 누가 사업권을 따내느냐’에 쏠리고 있다. 방통위는 주파수가 제한돼 있어 두 컨소시엄 중 한 곳에만 사업권을 줄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방통위는 다음달 중 심사위원회를 구성해 두 컨소시엄의 사업 계획서를 심사한 뒤 100점 만점에 70점 이상을 받으면 사업권을 부여할 방침이다. 앞서 KMI는 지난해와 올해 두 차례 사업권을 신청했지만 커트라인인 70점을 넘지 못해 탈락했다.
통신업계 관계자들은 제4 이통사업이 계획대로 진행되면 통신업계의 경쟁판도를 뿌리째 흔들 수 있는 ‘메가톤급’ 진앙이 될 수 있다고 입을 모은다. 이에 따라 현대·동부 등 대기업 참여가 가시화하면서 이동통신 사업의 수익성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현대와 동부그룹의 IT서비스 회사들이 이동통신 사업의 성패와는 관계없이 연간 2000억원 규모에 달하는 IT 서비스 관련 매출을 확보하기 위해 이같은 제4이통 사업에 참여하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사업허가 신청서를 제출한 KMI에는 동부그룹이 IT 서비스 계열사인 동부CNI를 통해 주주로 참여했다. IST 컨소시엄에는 현대그룹의 현대U&I가 주요 주주로 참여한다. 동부CNI는 KMI에 800억원을 출자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현대U&I는 현대증권과 함께 IST에 1800억원 가량 자본금을 투자할 계획이다.
업계 한 전문가는 “동부CNI와 현대U&I는 국내 IT서비스 시장 10위권의 기업들로 그룹 내부사업 외에 외부 사업 경쟁력은 떨어지는 형편”이라며 “제4 이통사업자가 본격적인 통신망 구축에 나서면 이 두 회사는 연간 2000억원 가량의 통신 관련 IT서비스 사업을 최소 4∼5년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실제로 제4이통 사업이 시작되면 당장 필수적으로 갖춰야 하는 과금시스템 구축에만 1000억원 이상 비용이 투입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 제4 이통사업자가 전국망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장비 구매를 이들 IT서비스 업체가 대행하게 되면 연간 5000억원가량의 장비 유통 매출도 확보하게 될 것이라는 예상도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업계에서는 제4이통 사업자가 통신시장에서 성공여부에 관계에 없이 이번 컨소시엄에 참여하는 현대와 동부그룹 계열의 IT서비스 기업들은 막대한 매출과 수익이 보장돼 이들의 컨소시엄 출자는 사실상 100% 이익이 보장된 계산에 나온 결과라고 분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