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론 이용자 절반은 ‘다중채무자’…부실뇌관

입력 2011-10-30 14:3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카드론 부실, 금융권 동반 부실로 전이 가능성”

카드대출의 일부인 카드론 이용자의 절반이 다중채무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카드사의 부실위험은 더 커졌다.

한국은행이 30일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올 3월말 기준으로 카드론 이용자의 52.9%가 은행, 캐피탈, 대부업체, 저축은행 등 다른 금융권에서도 신용대출을 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따라 다중채무자의 규모도 증가했다. 올 3월말 기준 다중채무자는 180만명으로 지난 2009년말 160만명에 비해 13.7% 늘었다. 같은 기간 카드론을 2건 이상 사용하는 복수카드론 이용자는 20만명 증가했다.

한은은 “다중채무자와 복수카드론 이용자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점은 카드사 대출자산의 부실화 위험을 높일 수 있는 요인이다”며 “카드론 부실이 금융권의 신용대출 동반 부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카드채의 만기 집중도 카드사들의 유동성 위험 요인으로 꼽았다.

올 6월말 기준 카드사의 부분별 자금조달은 카드채 73%, 자산유동화증권(ABS) 15%, 차입금 12% 순으로 카드채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특히 카드채는 2009년 하반기 이후 금리 하락으로 발행여건이 개선되고 카드사들이 외형 확대 경쟁에 나서면서 자금조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08년말 58%에서 73%(2011년6월 기준)로 급증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카드사들이 보유한 카드채 중 52%가 2011년 및 2012년 하반기에 만기가 도래한다. 상환 또는 차환에 따른 자금조달의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것이다.

한은은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확대되면 카드채 차환발행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며 “이 같은 경우 카드채 매입이나 카드사에 대출을 해준 채권금융기관으로 위기가 전이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신용카드업의 경우 경기순응성이 매우 높은 산업인 만큼 카드사들은 경기순환 과정에서 위험이 확대되지 않도록 사전에 경기대응적 조처를 취해야 한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