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외국인 증권투자자금 대규모 이탈 가능성”

입력 2011-10-30 13:0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대외적 여건이 악화될 경우 국내에 있는 외국인 증권투자자금이 무더기로 빠져나갈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에 따라 외화유동성 대응능력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국은행이 30일 내놓은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국제 금융시장이 크게 불안했던 지난 8~9월 국내 주식시장에서 유럽과 미국계 자금이 대규모로 이탈됐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지난달 말 현재 외국인이 보유한 국내 주식 잔액은 2695억달러로, 전년 말보다 17.4% 감소했다. 국내 주식시장 시가총액 중 외국인 비중도 지난해 말 31.1%에서 지난달 말 현지 30.9%로 낮아졌다.

한은은 “유럽 국가채무위기 확산 우려 등으로 국제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상당기간 지속될 경우 외국인 증권투자자금이 유출로 전환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더욱이 유럽 국가채무위기가 은행위기로 전이돼 유럽계 은행을 중심으로 디레버리징(부채 축소)이 현실화되고 미국 경제의 경제둔화 속도가 빨라진다면 외국인 증권투자자금이 대규모로 이탈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것으로 전망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우리나라에 유입된 외국인 증권투자 규모가 다른 신흥시장국보다 큰데다 미국과 유럽계 투자자들의 국내 증권투자 비중이 상당히 높은 수준이기 때문이다.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외국인 증권투자 순유입규모는 9%에 육박해 말레이시아, 베네수엘라, 인도, 인도네시아 등 다른 신흥국 평균인 4%의 두 배가 넘었다.

또 외국인 증권투자에서 유럽과 미국계가 차지하는 비중은 주식 75.5%, 채권 53.1%에 달했다.

우리나라가 다른 신흥시장국보다 상대적으로 자본시장이 발달한 데다 개방도가 높다는 점도 외국인 증권투자자금의 대규모 유출을 가능케 하는 요인으로 분석됐다.

또 유럽의 국가채무위기가 심화돼 은행위기로 전이되면서 디레버리징이 본격화될 경우 은행의 외화차입금도 유출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한은은 분석했다.

국내 은행과 외국은행 국내지점(외은지점)의 유럽지역으로부터의 차입 비중이 높아 유럽 은행들의 자금사정이 악화될 시 자금이 빠르게 이탈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은은 “이런 점 때문에 유럽 국가채무위기가 확산된다면 다른 신흥시장국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충격을 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