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숨 돌린 그리스, 은행 국유화는 불가피

입력 2011-10-28 16:3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유럽연합(EU) 정상들이 역내 재정위기 해결을 위한 포괄적 대책에 합의하면서 일단 그리스는 디폴트(채무불이행) 사태는 모면하게 됐다.

그러나 그리스가 부채의 50%를 탕감받으면서 은행들은 대량 국유화 상황에 직면했다고 다우존스뉴스와이어가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다우존스는 은행들이 실제로 국유화하는 상황이 벌어지면 가뜩이나 재정위기에 직면한 그리스 정부에 의지해 경영을 유지하는 상태가 몇 년간 계속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익명을 요구한 그리스 은행 관계자는 “정부가 경영권을 쥘 경우 주주를 실질적으로 내쫓아 경영 개입으로 연결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는 그리스 은행권이 자유화에 성공한 지 20년 만에 부조리한 과거로 퇴보하는 꼴이라고 은행 관계자는 말했다.

또다른 그리스 은행 관계자는 “현재 상황에서 은행 국유화 가능성은 90%가 넘는다”며 “그리스 국채 보유 손실을 따져본 후 공적자금을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게오르게 파판드레우 총리도 “은행이 일시적인 국유화에 직면할 가능성이 있다”고 인정했다.

이번 정상회의에서 합의된 사항은 그리스 국채 보유자의 손실부담비율 확대, 유럽재정안정기금(EFSF) 확충, 은행의 핵심 자기자본비율(Tier I)과 자본 확충 등 크게 3가지다.

그리스 채권의 손실률(헤어컷)을 50%로 합의한 것을 비롯해 EFSF 규모는 5배인 1조4000억달러 수준으로 확대, 역내 은행들은 1060억유로 규모의 자본을 확충하도록 하기로 각각 합의했다.

유로존과 국제통화기금(IMF)은 그리스의 재정위기 타개를 위해 그리스에 1000억유로 규모의 추가 지원자금을 공급하기로 했다.

그리스 은행의 손실 총액은 160억유로에 이를 것으로 예상, 그리스 정부와 국제 채권단이 설립하는 특별 지원 기금에서 300억유로를 지원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각 은행은 이 기금을 신청하기 전에 우선 시장에서 자금 확보를 도모할 수도 있다. 

앞서 그리스는 1990년대에 정부가 10년에 걸쳐 관리하던 은행 대부분을 민영화했다.

정부 관리 하에서 융자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거액의 손실로 재정에 타격을 줬다는 비난에 따른 것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