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진출 국내銀, 예대율 축소 비상

입력 2011-10-17 08:4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내 은행들이 중국 공략에 적극 나서고 있지만 예대비율(예금대비 대출 비율) 규제 등으로 현지 경영환경이 녹록지 않아 대책 마련에 고심 중이다. 중국 은행감독위원회가 12월 말 평잔 기준으로 대출 규모를 예금의 75% 이내(예대율 75%)로 낮추도록 요구했기 때문이다. 예컨대 예수금 잔액이 1000억원이라면 대출 규모를 750억원 이내로 제한해야 한다는 의미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중국 내 한국계 은행(중국법인)의 9월 말 기준 예대비율은 낮게는 85%, 높게는 100%에 이른다.

시중은행 한 중국법인 관계자는 “중국 정부가 모든 은행들에 대해 연말까지 예대율을 75%로 맞추라고 지시했다”며 “최근 중국 금융당국이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지급준비율을 수차례 인상하고 금리도 몇 차례 올려 유동성이 부족한 상황에서 예대율도 맞추느라 자금 운용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현지 은행들의 고민은 현재 85~100% 수준인 예대율을 낮추기 위해선 예수금을 늘리거나 대출을 줄여야 한다는 점이다. 이렇게 되면 수익이 감소할 수밖에 없는데다 예수금을 늘리기가 어려운 만큼 대출 회수에 나서야 할 입장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중국 정부의 핫머니 유입 규제와 차입 제한 등으로 인해 서울 본점에서 자금을 차입해 주는 방식도 어렵다”며 “대출 회수라는 극단적 처방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대출 회수도 쉽지 않다는 게 은행권 안팎의 평가다. 그동안 중국 내 한국계 은행 자금을 많이 쓴 곳이 4만여 개의 한국 기업이기 때문이다. 은행이 무리한 대출 회수에 나설 경우 흑자 부도 사태까지 일어날 수 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중국에 진출한 은행들의 고충을 중국 당국에 전달했으나 규정에 예외를 둘 수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중국 내 한국계 은행들은 아직 구체적 대안을 마련하지 못한 채 예수금 확보에 올인하고 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아직 예대율이 높은 수준이지만 뚜렷한 대안이 아직 없어 예금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기업은행은 예금 확보를 위해 베이징이나 상하이 지역에 지점 개설도 준비 중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당장은 예대율을 연말까지 맞출 수는 있지만 그동안 예대마진을 통해 수익을 챙기던 영업방식은 더 이상 어려워질 전망”이라며 “향후 새로운 수익성 확보가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