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축복인가 재앙인가] ⑨-2 한계에 부딪힌 중국 민족정책

입력 2011-10-14 10:02수정 2011-10-17 06:4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변방의 절규...중국 소수민족의 눈물

소수민족의 잇단 유혈사태로 중국 정부의 민족정책에 대한 우려가 퍼지고 있다.

중국은 신장과 티베트 등에서 경제 발전과 경제 지원을 통해 장기적 안정을 유지하겠다는 ‘유화정책’을 펴왔지만 소수민족의 불만과 분노는 잠복한 ‘시한폭탄’이라는 사실이 입증됐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의 민족정책은 1987년 가을부터 1989년 봄까지 티베트 자치구에서 발생한 위구르족 사태와 천안문 사태로 거슬러 올라간다.

중국 정부는 이들 사태에 따른 국제적 고립, 당 지도부 교체, 냉전체제 붕괴 등의 영향을 받아 민족정책의 기본방침을 정했다.

중국 정부의 민족정책은 다민족의 존재를 존중하면서도 실질적으로는 민족을 단일화해 국가적 통합을 강화한다는 것이 기본 방침이다.

그러나 이는 명분일 뿐 실제로 중국은 소수민족에 대한 통제를 한층 강화하고 있다는 것이 국제사회의 평가다.

실제로 중국 정부는 1989년 티베트와 위구르에서 발생한 유혈사태가 종교문제와 관련이 있다는 이유로 이슬람교도의 성지 순례를 제한하는 등 종교적 측면의 통제를 강화했다.

중국은 2005년 티베트 지도자의 후계자를 정할 때 정부로부터 비준을 받도록 했다. 이는 2008년 3월 승려들이 시위를 일으킨 단초가 됐다.

중국 정부는 또 소수민족의 의식을 개혁한다면서 학교에서 소수민족과 중국과의 단일성을 세뇌에 가깝게 교육시키고 있다.

이는 국가, 민족, 역사를 공유함으로써 국가적 통합을 강화하자는 것이지만 정책 자체에 상당한 무리가 따른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예를 들어 소수민족이 중국 사회에서 살아가기 위해 중국어를 익혀야 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유치원에서부터 대학까지 강제로 중국어 능력시험을 치르도록 하는 것은 새로운 민족 마찰을 초래할 뿐이라는 것이다.

2010년 10월에는 칭하이성의 티베트족 학생 1000명이 이 같은 중국 정부의 방침에 반발해 대규모 시위를 일으키기도 했다.

한족과 소수민족간의 경제 격차도 무시할 수 없다.

중국 정부는 민족문제를 해결한다는 명분 하에 서부대개발 등 민족 자치구를 지원하는 체제를 구축했다.

그러나 한족이 이를 돈벌이로 삼아 민족 자치구로 대거 이주하면서 소수민족의 입지는 한층 좁아졌다.

통계에 따르면 2000년 현재 티베트 자치구에서 한족 인구 비율은 6%였지만 서부대개발이 본격화한 이후에는 34%를 넘었다.

우루무치시에서 한족 비율은 75%로 이들 대부분은 시내의 부촌에 거주하고 있다.

이처럼 주객이 전도된 양상은 민족간 갈등을 한층 악화시키고 있다.

특히 민족교육을 제대로 받지 않은 한족이 소수민족 거주지로 들어와 장사할 경우 문제를 일으킬 소지가 다분하다는 것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