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부, 5개 시도 학교서 ADHD 검사

입력 2011-10-11 15:3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부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를 겪고 있는 학생들을 위해 팔을 걷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정신건강 장애 학생들의 기초학력 향상을 지원하기 위해 서울·대구·대전·전남·경북 등 5개 우수 시도교육청에 내년부터 2년간 600억원을 지원한다고 11일 밝혔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 서울 등 5개 시도의 초중고생은 희망하면 학교를 통해 ADHD 등 정신건강 검사를 받을 수 있다. 이들 5개 시도에는 ADHD·우울증·인터넷 중독·난독증 등 정신건강 장애 학생들의 학습과 정서행동발달을 지원할 ‘학습부진 종합클리닉센터’가 설치된다.

교과부는 국가학업성취도 평가를 시행하면서 초중고 기초학력 미달학생 비율을 2008년 평균 7.2%에서 2010년 3.7%로 줄였지만 정신건강 장애학생은 기초학력 미달자 비율이 높아 집중 지원 대상으로 지목해 왔다.

교과부가 최근 창의경영학교 1045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초·중학생의 학습부진 원인 조사결과 정서·행동장애가 원인인 경우가 20% 수준이었다. 또 경기도교육청이 지난해 초등 1학년을 대상으로 전수 조사를 한 결과 8.9%가 ADHD 위험군이었다.

교과부는 이번에 정서행동발달 장애학생 지원 계획을 잘 세운 5개 우수 교육청의 초중고생 240여만명 중 희망 학생은 전원이 정서행동발달 선별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선별검사 결과 장애 성향이 보인 학생 중 학습부진 학생을 중심으로 전문기관에서 심층검사를 받는 비용도 지원한다.

교과부는 이들 5개 교육청의 교육지원청 30곳에 전문상담사와 의사, 교사 등으로 구성된 ‘학습부진 종합클리닉센터’를 두고 학력 부진학교에는 전문상담인력이 배치되는 Wee 클래스를 우선 설치한다.

모든 교사를 대상으로 정서행동발달 장애 학생 지도를 위한 연수를 15시간 이상 실시하고 학부모 대상 연수프로그램도 확충한다. 시도교육청 공동으로 온라인 정서심리 진단평가 시스템을 개발하며 저소득층 학생에 대한 지원도 강화한다.

교과부 관계자는 “대구와 전남 등에서는 전체 학생 또는 초등학생 전체에 대한 선별 검사를 시행할 계획”이라며 “시도교육청의 방침에 따르되 원칙적으로는 학부모의 의사를 존중해 희망 학생을 대상으로 선별 검사를 실시한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