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16개 국내 은행 46억달러 차입…2009년 1월 이후 최대

입력 2011-10-09 14:1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전월 이어 순차입세 이어가…금감원 “대외여건 악화 대비 중장기 자금 적극 조달” 분석

국제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이 증폭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은행들이 외화를 적극 조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9월 중 지방은행을 제외한 16개 국내 은행의 단기차입 차환율(만기연장비율)이 136.4%로 전월(157.4%)에 이어 큰 폭의 순차입세를 이어갔다고 9일 밝혔다.

중장기차입 차환율도 186.6%로 5.5%포인트 늘었다. 특히 9월 중장기차입 규모는 46억1000만달러로 지난 2009년 1월(47억1000만달러)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이 같은 현상은 국내은행이 대외여건 악화 가능성에 대비해 중장기 자금을 적극적으로 선조달한데 따른 것이라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또한 최근 우리나라를 포함한 주요국가의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이 큰 폭으로 상승했지만, 국내 은행의 차입 가산금리는 소폭 상승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국채(5년물)에 대한 CDS 프리미엄은 월말 연중 최고치인 220베이시스포인트(1bp=0.01%)까지 올랐지만, 국내은행의 중장기(5년)차입 가산금리는 145bp로 전월 대비 16bp 상승에 그쳤다.

단기차입 가산금리로 37.9bp로 5.2bp상승에 그쳤다.

외환건전성 지표도 양호한 수준이었다. 잔존만기 3개월 이내 외화자산을 3개월 이내 외화부채로 나눈 3개월 외화유동성비율은 101.7%였고, 잔존만기 7일 이내 외화자산에서 7일 이내 외화부채를 뺀 수치를 외화총자산으로 나눈 7일 갭비율은 1.5%로 나타났다.

1개월 갭비율은 0%를 기록했다.

외화유동성 비율, 7일 갭비율, 1개월 갭비율의 지도기준은 각각 85%, -3%, -10%이상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9월 중 국제금융시장의 불안감이 증대돼 주요국가의 CDS 프리미엄이 비교적 큰 폭으로 상승했으나, 이는 글로벌 차원의 공통적인 현상”이라며 “외환건전성 비율도 지도비율을 큰 폭으로 상회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