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사, “약가 인하 시 687개 품목 생산중단 고려할 것”

원희목 의원, 한국제약협회 31개 회원사 대상 설문조사 결과

정부의 8·12 약가 인하방안이 실시될 경우 대부분의 제약사들은 일부 품목에 대한 생산 중단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10개 중 3개 업체는 인력구조조정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7일 원희목 한나라당 의원이 한국제약협회 회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한 31개사 중 30개사가 687개(18.3%) 품목의 생산중단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 이유로는 ‘약가 인하시 수익성이 악화돼 낮은 마진 또는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약가 인하 손실을 보전하기 위한 자구책으로는 제품 구조조정(25.5%)이 가장 많았고 저가 원료 사용이나 OEM 전환 등을 통한 생산원가 절감(22.3%), 판매관리비 축소(16.0%) 등의 순이었다.

정부의 약가인하방안 시행시 기업들은 R&D(연구개발) 투자도 줄어들 것이라 예상했다. 지난해 4.78% 수준이었던 매출액 대비 R&D 투자비 비중은 4.36%까지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으며 31개사 중 28개사(90.3%)가 신약 개발이 불가능할 것이라고 대답했다.

인력구조조정도 본격화될 전망이다. 응답한 31개사 중 10개사(32.3%)가 전체 인력 7283명 중 1251명(17.2%)을 구조조정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채용에 있어서는 31개 기업 중 13개 회사(41.9%)가 축소계획을 밝혔으며, 이 중 8곳은 신규채용 계획이 없다고 응답했다.

공장의 신축, 이전, 증축 등 시설투자 또는 사업 확장과 관련해 계획을 수정하거나 고려중인 회사도 15개사(48.4%)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약가인하 후 19개사(61.3%)는 ‘다국적 제약회사가 주도할 것’이라 예측했다.

원 의원은 “시장 환경과 산업 여건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약가 인하 정책을 시행할 경우 약제비를 오히려 증가시킬 수 있으며 국민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며 “건강보험 재정 안정화와 국내 제약산업 발전 정도를 충분히 고려해 약가인하 정책을 신중하게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달 21~28일 시행됐으며 한국제약협회 회원사 190개사 중 31개사(16%)가 조사에 응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