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풍선효과…비은행권 대출 은행의 2배

입력 2011-10-06 08:2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금융당국이 은행의 가계대출을 억제하면서 새마을금고, 신용협동조합(신협) 등 비은행권의 가계대출이 최근 석달새 10조원이나 늘었다.

6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달 가계대출은 전체 금융권에서 3조3000억원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가계대출 잔액은 732조2000억원으로 늘었다. 지난 8월 가계대출 증가 규모인 6조원에 견주면 지난달 들어 증가폭은 반토막났다.

특히 은행의 가계대출 증가가 크게 둔화했다. 7월 2조2000억원에서 8월 2조5000억원으로 늘어난 은행 가계대출은 지난달 5000억원으로 증가폭이 5분의1로 작아졌다.

그러나 비은행 가계대출은 3조5000억원에서 2조8000억원으로 7000억원 감소하는 데 그쳤다. 지난 7월의 증가액 1조9000억원을 더하면 8조2000억원이나 급증했다.

여기에다 금융위 집계로 잡히지 않은 새마을금고의 가계대출 증가세까지 감안하면 전체 비은행 가계대출은 3개월 만에 10조원가량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지난 7∼9월 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액 5조2000억원과 비교하면 두배에 가까운 규모다.

비은행 가계대출의 급증은 새마을금고를 포함해 농·수협 단위조합과 신협 등 상호금융회사가 주도했다.

상호금융 가계대출은 7월 1조1000억원, 8월 1조8000억원, 9월 1조6000억원으로 당국의 억제대책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꾸준히 늘어 3개월 동안 무려 4조5000억원 증가했다.

상호금융의 가계대출이 급증한 것은 은행의 가계대출을 억제한 데 따른 풍선효과란 분석이다. 또 대출금리가 은행보다는 높지만 저축은행, 할부금융에 비해서는 낮아 가계대출 수요를 끌어들인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8월 상호금융의 일반대출 금리는 연 6.21%로 저축은행의 16.71%보다 크게 낮은 수준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