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학규, 박영선 패배 직후 결심 굳혔다

입력 2011-10-04 13:46수정 2011-10-04 14:0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조기 전당대회 유력… 정동영 승계 대신 비대위 체제

손학규 민주당 대표의 대표직 사퇴는 3일 야권 서울시장 후보 통합경선 직후 가닥을 잡은 것으로 전해졌다.

복수의 손 대표 측근들은 4일 기자와의 통화에서 “어젯밤 측근들에게 (대표직 사퇴에 대한) 의사를 묻고 의견을 구했다”며 “이미 이때 결심은 선 것으로 보였다”고 전했다.

측근들은 하나같이 강하게 만류했지만 제1야당으로서 서울시장 후보를 내지 못한 것에 대한 최종 책임은 당 대표가 져야 한다는 손 대표의 생각이 워낙 강경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손 대표는 4일 오전 10시 30분 기자회견을 통해 대표직 사퇴를 선언하려 했으나 정장선 사무총장을 비롯한 주요당직자들은 물론 한명숙 전 총리까지 나서 만류하는 바람에 선(先) 최고위원회의로 선회했다. 기자회견은 이날 오후에 열린다.

손 대표는 이날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서 “어제 경선 결과 축복 속에 박원순 후보가 단일후보로 선출됐지만 60년 전통의 제1야당이 후보를 내지 못한 것은 엄연한 사실”이라며 “민주당 대표가 정치적, 도의적 책임을 지고 물러나는 것이 국민과 당원에 대한 도리”라고 밝혔다.

이어 “당 대표가 사퇴하는 책임을 져야 민주당이 더 단단하고 건강하게 발전하고 변화하고 혁신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손 대표는 대신 “대표직을 사퇴하더라도 10ㆍ26 재보궐 선거 지원을 위해 뛸 것”이라며 “그것이 박원순 통합후보를 더 떳떳하게 지원하는 길이라 믿는다”고 말했다.

이날 최고위원회의 역시 참석자들 모두 강하게 사퇴 철회를 요구했지만 손 대표는 “나에게 맡겨 달라”며 뜻을 굽히지 않았다고 이용섭 대변인이 전했다.

정확히 취임 1년 하루만의 사퇴다.

이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최고위원들은 원내대표가 중심이 돼서 당 고문을 만나고 당원들의 의견을 수렴해 의원총회에서 이 문제의 결론을 내기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손 대표의 사퇴가 최종 확정되면 당헌에 따라 지난 10.3 전당대회 차순위 득표자인 정동영 최고위원이 대표직을 승계하게 된다.

다만 대권주자는 차기 대선 1년 전(12월18일)에 모든 당직에서 사퇴해야 한다는 당헌당규에 따라 조기 전당대회로 선회할 가능성이 높다. 손 대표를 포함해 정동영, 정세균 최고위원은 이른바 민주당 빅3로 불리는 대선주자들이다.

따라서 조기 전당대회 이전까지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