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한국어능력시험 '말하기 평가' 도입 추진

입력 2011-10-02 09:5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갈수록 응시자가 늘어나는 한국어능력시험(TOPIK)에 말하기 평가를 도입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2일 교육과학기술부와 국립국제교육원은 오는 2015년부터 한국어능력시험의 의사소통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말하기 영역의 시범 평가를 실시할 방침이라고 2일 밝혔다.

한국어능력시험은 한국어를 모국어로 쓰지 않는 외국인과 재외동포를 대상으로 한국어 사용능력을 인증하는 시험으로 현재 어휘ㆍ문법, 쓰기, 읽기, 듣기의 4개 영역으로 구성돼 있다.

총체적 언어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말하기 평가를 해야 한다는 요구가 있었지만 표준화되거나 신뢰할 만한 평가도구가 없어 도입을 미뤄왔다.

국제교육원은 학계에서 개발돼 있는 면접, 토의, 인터뷰 등 `면 대 면'의 말하기 평가는 대규모 응시자를 대상으로 하는 토픽은 이런 방식이 적합하지 않아 CBT(Computer-Based Test)ㆍIBT(Internet-Based Test) 기반의 평가 유형을 개발키로 했다. 평가는 한꺼번에 여러 명의 수험생에게 문항을 제시한 뒤 반응을 녹음해 채점하는 방식이 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다음달부터 4개월 간 평가 유형 개발을 위한 연구 용역을 실시하고 내년에는 표준문형 개발 검토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국제교육원은 말했다.

2013년에는 등급별 표준문항 개발 등 평가방식을 확정하고 2014년에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2015년에는 국내 시험부터 시범적으로 말하기 평가를 적용하며 이후 시험장 환경이 좋고 응시자가 많은 미국, 중국, 일본 등 해외 국가로 확대할 예정이다.

개발 당국은 이미 많은 수험생이 치른 CBTㆍIBT 토플과 내년부터 본격 시행될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도 토픽 말하기 평가의 `모델'로 삼아 참고할 계획이다.

한편 1997년 처음 시행된 한국어능력평가시험은 올해 49개국에서 치러졌으며 국내대학 유학 희망자와 국내외 한국기업체 취업 희망자들이 많이 응시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