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국감]질본 건물 화재시 탄저균 등 고위험 병원체 발생

입력 2011-09-26 15:2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충청북도 오송 보건의료행정타운에 화재가 생길 경우 탄저균·페스트 등의 고위험 병원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주승용 민주당 의원은 26일 국정감사에서 “2010년 3월 29일 질병관리본부는 실허본동 2층 감염병센터 내 장내세균과에서 화재가 발생했음에도 여전히 야간이나 공휴일에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상황보고 및 전파체계’가 통일돼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질본의 ‘2011 소방계획서’를 보면 평상시 운용하는 자위소방대 구성은 있으나 야간이나 공휴일에 화재 시 고위험 병원체를 누가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에 대한 내용은 없다.

소방계획서와 별개로 질본 당직실에 비치된 ‘상황보고 및 전파체계’에는 화재 시 총무고장에게 보고하도록 돼 있다. 그런데 또 다른 매뉴얼인 ‘질병관리본부 고위험 병원체 자원 보존실상황 전파체계’에는 당직실 근무자가 고위험병원체 담당자와 백업담당자에게 연락하도록 돼 있다.

하지만 ‘고위험병원체 등 중요병원체의 안전지출 및 긴급파기 계획’에 따르면 건물 화재 등 재난으로 연구동 건물이 파괴될 경우 고위험 병원체의 유출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문제다. 현재 질본은 연구목적으로 탄저균과 페스트균 등을 보유하고 있다.

주승용 의원은 “보건복지부와 질본은 오송의 안전 계획을 철저히 점검해 오송의 각 기관이 유기적으로 협력해 비상 상황에서 제대로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