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학재 의원 “석유공사 쿠르드 원유개발사업 경제성 희박”

입력 2011-09-16 14:3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석유공사 “현 시점에서 사업 실패로 단정하는 것은 성급한 판단”

한국석유공사가 이라크 북부 쿠르드 지역에서 추진해온 원유개발사업의 경제성이 당초 예상과 달리 매우 낮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지식경제위 이학재 한나라당 의원이 16일 석유공사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석유공사가 참여하고 있는 5개 쿠르드 유전개발사업의 탐사 시추 결과 원유가 아예 없거나 소량의 천연가스만 발견되는 등 사업성이 희박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사업은 2008년 2월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이 방한한 니제르반 바르자니 쿠르드 자치정부 총리와 합의하고, 같은 해 6월 본계약이 체결됐다. 당시 석유공사는 확보원유량이 우리나라 2년치 소비량인 19억배럴이라고 밝혔다.

석유공사는 계약 체결과 동시에 쿠르드 정부에 서명보너스 2억1140만달러를 지급하고, 지금까지 탐사비로 1억8868만달러를 썼다.

그러나 탐사시추 결과 추정매장량이 12억배럴이 넘었던 바지안 광구는 일일 생산량이 기대치 15만~20만배럴에 못미치는 200배럴로 나타났고, 상가우 노스 광구는 원유 대신 물과 소량의 천연가스만 발견됐다.

또 쿠쉬 타파 광구는 상업적 원유부존량이 거의 없고, 탐사시추가 진행중인 상가우 사우스 광구는 탐사목표치에 거의 도달했지만 원유 발견 전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의원은 “사업성이 낮은데다 이라크 중앙정부를 거치지 않고 자치정부와 계약하는 바람에 중앙정부와 관계가 나빠져 향후 이라크 자원개발에도 문제가 생겼다”며 “충분한 검토없이 성급하게 사업을 추진한 결과”라고 지적했다.

한편, 이날 석유공사는 해명자료에서 “유전개발 사업은 5개 광구에 대한 탐사 사업으로서 수차례 시추작업을 거쳐 상업성 여부를 최종 판단하는 탐사 사업을 특성을 감안할때 탐사 시추작엄 초기 단계인 현 시점에서 사업 실패로 단정하는 것은 성급한 판단”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2013년까지 5개 광구에 대한 탐사시추를 진행 할 예정”이라며 “그 결과를 종합해 광구별로 상업성 여부를 판단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