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유출 사고 이후 네티즌들이 주요 포털 사이트를 방문하는 횟수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시장조사기업인 랭키닷컴은 9월 첫째주(9월4~10일) 국내 3대 포털사이트의 방문자 수를 분석한 결과, 네이트 방문자 수가 사고 직후인 7월 마지막주(7월24~30일) 대비 8.2% 감소했다고 15일 밝혔다.
이 기간동안 네이버와 다음도 방문자 수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네이버아 다음의 방문자는 각각 0.6%와 0.5% 줄었다. 7~8월의 경우 여름휴가 등으로 외부활동이 많은 시기적 특성상 인터넷 사이트 방문자 수가 감소하기는 하나 네이트의 하락폭은 눈에 띄는 변화다.
또한 사고 직후 두개 이상의 포털 사이트를 동시 방문하는 경우도 줄고 개별 사이트의 단독 방문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 직전인 7월 셋째주(17~23일)에는 네이버와 네이트의 중복 방문자 수는 1791만명이었으나 9월 첫째주에는 이 수치가 1710만명으로 4.5% 감소했으며 다음과 네이트 중복 방문자 수 역시 1456만명에서 1403만명으로 3.6% 줄었다.
반면 같은 기간 네이버와 다음의 단독 방문자 수가 각각 8.5%와 7.6% 늘어났으며 네이트 역시 3.2% 증가했다.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가 네티즌의 포털 이용 패턴에도 적잖이 영향을 끼쳤다는 설명이다.
랭키닷컴 관계자는 "주변 사람들에게 해킹 사고 이후 네이트를 방문하는 횟수가 줄었는지를 물어보면 '잘 모르겠다' 또는 '별다른 변화가 없다'고 답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실제 데이터를 분석해 본 바로는 네이트 방문자 수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