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동 예탁결제원 사장, “IT·자본시장 인프라 구축에 중점”

김경동 한국예탁결제원 사장은 6일 여의도 63빌딩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전자단기사채 도입, 신증권결제시스템, 프라임브로커 플랫폼 구축 등 자본시장 인프라 선진화에 역점을 둘 것”이라며 “고객과 직원 모두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은 물론 지역공동체와 상생할 수 있는 방안도 마련할 것”이라고 첫 일성을 밝혔다.

김 사장은 “최근 개인정보 유출 사건이 잇따르고 있다”며 “예탁결제원은 2500조원 규모의 막대한 예탁자산을 관리하는 국민재산 관리기관인 만큼, 정보 보안을 더 철저히 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사장은 고객만족을 높이기 위해 직원만족도를 높이는 방안도 마련할 것이라며 대신 책임은 무겁게 묻겠다고 밝혔다.

그는 “예탁결제원에 ‘신바람’ 나는 조직문화를 만들 것”이라며 “고객만족도가 90점 이하를 받은 부서는 팀장에게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사장은 거래소와의 지분구조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현재 거래소가 예탁결제원의 지분 70% 보유하고 있는데 이를 낮추는 방안은 이미 지난 2006년 소유구조 개편을 통해 동의했다”며 “향후 거래소이사장과 논의를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거래소 측도 지분을 50% 이하로 가져가는 방안을 고민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며 “다만 주가의 괴리차와 유동성 측면 때문에 결론이 쉽게 나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김 사장은 “새도우보팅제도가 2015년 폐지됨에 따라 전자투표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해 수수료를 한시적으로 유예해주는 방안도 고려중”이라며, 또한 “상품 유통시장 선진화를 위해 정부가 추진 중인 금현물시장 예탁결제인프라 구축에도 중점을 둘 예정”이라고 말했다. 현재 일산센터를 금 보관소로 활용하는 방안이 검토 중이다.

특히 김 사장은 “정부의 한국형 헤지펀드 및 PB서비스 도입 추진에 따라 프라임브로커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해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며 “현재 관련 법령개정 작업을 위해 관련 업계의 의견을 수렴중이며 시스템도 구축중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달 8일 취임한 김경동 사장은 1969년 우리은행에 입행해 우리은행 부행장, 우리금융지주 수석전무, 우리투자증권 사외이사·고문 등을 역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