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백화점 한계"…하남에 복합몰 조성
![](https://img.etoday.co.kr/pto_db/2011/09/600/20110906_0000000044.jpg)
신세계는 5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과 르네 트렘블리 터브먼아시아 사장, 김문수 경기도지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하남유니온스퀘어(조감도) 사업선포식을 가졌다. 터브먼은 현재 미국 13개 주에서 26개 대형 쇼핑몰을 보유 및 운영하고 있는 글로벌 쇼핑몰 업체다.
정 회장은 “복합쇼핑몰 개발과 운영에 성공적인 노하우를 갖고 있는 터브먼과 국내 유통업계를 선도하는 신세계가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국내 최고의 복합쇼핑몰로 개발할 것”이라고 밝혔다.
2015년 미사리 조정경기장 인근에 세워질 하남유니온스퀘어는 축구장 16개 넓이의 11만7116㎡, 연 면적은 33만여㎡ 규모다. 이는 여주 프리미엄 아울렛(연면적 3만3500㎡)의 약 10배 규모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11/09/600/20110906_0000000045.jpg)
신세계는 전체 투자금액의 약 50%인 4000억원가량을 투자할 예정이다. 터브먼은 1차로 2100만 달러(약 225억원)를 투자하고 향후 투자규모를 4000억원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신세계 관계자는 “기존 백화점에서 볼 수 없었던 새로운 구성의 명품쇼핑몰로 만들겠다”며 “완공 후엔 7000여 명의 직접고용 창출 효과가 예상되고 중국·일본 관광객을 비롯해 연 1000만명 이상이 방문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신세계는 앞으로 ‘대규모 여가형 교외 백화점’을 지속적으로 늘릴 예정이다. 도심에 쇼핑센터를 짓는다는 것은 비용문제뿐만 아니라 지리적·법적 규제도 많은 데다 고객들 역시 편하게 쇼핑을 즐기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정 부회장은 “하남유니온스퀘어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최소 16만5000㎡ 이상의 시설을 수도권 근교나 지방 광역시 인근의 중소도시에 조성할 계획”이라며 “또한 백화점은 수직형 쇼핑몰이고 유니온스퀘어 등 교외형 쇼핑몰은 평면형으로 크게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차이점에 주목해 입점 브랜드 전략 등을 잘 구성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