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공단 "노령층 심혈관질환 여성이 더 많다"

입력 2011-08-14 13:2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60대 이상의 연령대에서는 남성보다 여성 심혈관질환 환자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심혈관질환은 여성보다 남성에게서 더 많이 발생하지만 폐경기에 관찰된 혈중 지질의 상승과 '죽상경화' 때문에 이 같은 역전현상이 일어나는 것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06년부터 지난해까지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심혈관질환' 진료환자는 이 기간 449만2000명에서 574만6000명으로 연평균 6.3%씩 증가했다고 14일 밝혔다.

성별 환자 추이를 보면 남성 환자는 이 기간에 203만7000명에서 271만9000명으로 1.33배, 여성환자는 245만5000명에서 302만7000명으로 1.23배 늘었다.

50대까지는 남자 환자 비율이 여성에 비해 높지만 60대부터는 그 비율이 역전됐다.

50대 폐경 후 여성의 심혈관질환 발생률은 동일 연령의 폐경 전 여성보다 3배나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성 호르몬 감소와 연관된 고지혈증 등 폐경 후 여성에게 흔히 나타나는 체중 증가, 흡연, 스트레스, 신체활동 감소 등은 심혈관질환의 대표적인 위험 요소로 운동을 통해 교정할 수 있다. 이 밖에 교정이 가능한 위험인자로는 고혈압, 당뇨병, 심방세동, 고지질혈증, 목동맥협착증 등이 있다.

미국 심장협회는 이런 이유에서 위험요소를 하나 이상 지닌 50세 이상 여성을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군'으로 규정하고 예방적 건강관리를 권고하고 있다.

지난해 60대 심혈관질환 환자 수는 160만3357명으로 이 가운데 여성 환자는 86만4276명(53.9%)으로 남성 환자(73만9081명, 46.1%)보다 많았다.

70대에서도 여성 환자가 77만3085명으로 남성 환자(48만3012명)보다 많았고, 80대 이상 연령대에서는 여성 환자(32만5250명)가 남성 환자(12만5208명)의 2.66배에 달했다.

반면 50대에서는 심혈관질환 환자 수 비율이 남성 51.7%, 여성은 48.3%였고, 40대에서는 남녀 비율이 각각 61.3%, 38.7%로 남성 환자비율이 높았다.

인구 10만명당 환자 수도 80대 이상에서는 여성 환자 수가 5만7311명으로 남성(5만998명)보다 많았고, 70대(여성 5만7311명, 남성 4만8445명)와 60대(여성 4만1914명, 남성 3만8608명)에서도 같은 현상이 나타났다.

심혈관질환 관련 건강보험 진료비는 2006년 1조9천103억원에서 2010년 3조388억원으로 늘었다. 연평균 증가율은 12.3%였다.

심혈관질환이란 심장에 산소와 영양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에 콜레스테롤을 함유하는 동맥경화증이 발생해 혈류를 차단, 심근에 손상이 오거나 신체장애가 나타나는 질환을 말한다.

통상 심근경색, 협심증 등의 허혈성 심장질환이 이에 해당하며 고혈압, 동맥경화증 등 선행질환도 심혈관질환에 포함된다.

심혈관질환 위험인자는 크게 교정이 가능한 것과 교정할 수 없는 것으로 나뉜다.

대표적인 교정 불가능 인자는 나이다. 나이가 들수록 심혈관질환 발생 가능성은 명백히 증가하는 것이다. 그 밖에 교정할 수 없는 위험인자로 성, 인종, 가족력, 저체중 출산 등이 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심장내과 양주영 교수는 심혈관질환에 따른 장애 발생 또는 사망을 피하기 위한 방법으로 △규칙적인 혈압 관리 △금연 및 과도한 음주 회피 △당뇨 관리 △건강한 식사습관 유지 △규칙적인 운동(일주일 4일, 하루 30분 이상) 등을 제시했다.

또 심방세동 등의 심장병이나 목동맥 협착증이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전문적인 진료를 받으라고 권고했다. 특히 심혈관질환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발병 후 치료를 시작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인 만큼 몸에 이상이 느껴지면 바로 병원을 찾는 것이 좋다.

양 교수는 "남성은 젊을 때부터 고혈압·당뇨병·목동맥 협착증·흡연·비만·운동부족·과음 등 위험요인을 관리해야 하며, 젊은 여성은 피임약의 복용이나 임신 등과 관련된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또 노령층 여성은 고혈압·당뇨병·심방세동 등 심장병, 운동부족 등의 관리에 좀 더 주의를 기울이고 정기적인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