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암 생존율 최대폭 끌어올리겠다

입력 2011-07-25 10:5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복지부, 2015년 54%→67% 상향 조정

정부가 암 생존율을 최대 70%대까지 끌어 올리겠다는 중장기적인 목표를 내놨다. 이를 위해 정부는 성인남자 흡연율을 35%까지 낮추고, 여성 흡연율 역시 최대 6.5%까지 줄이기로 했다. 특히 암 예방 인지율과 암 검진 수검률을 높이고 항암신약 개발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보건복지부는 암 치료 후 5년간 생존할 확률을 가리키는 ‘암생존율’의 2015년 목표를 기존의 54%에서 67%로 상향조정하고 현재 암사망률도 기존의 인구 10만명 당 94명에서 88명으로 줄여나갈 계획이라고 25일 밝혔다.

이를 위해 복지부는 최근 열린 국가암관리위원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암정복 2015 제2기 암정복10개년계획’ 수정안을 의결했다. 복지부의 암 생존률 목표치 상향조정은 지난 2006년 수립한 제2기 암 정복 10개년 계획의 중간 평가결과 기존 목표를 초과 달성한 데 따른 것이다.

지난 2008년 암 생존율은 59.5%로 2005년 50.8%보다 17.1%가량 개선됐으며 2008년 인구 10만명 당 암사망률은 103.8명으로 2005년 112.2명보다 7.5% 낮아졌다. 이번 수정안이 이행되면 암 생존율은 2005년 50%에서 2015년에는 33%가량 개선되며 암사망률은 2005년 10만명 당 112명에서 2015년 21%가량 개선된다.

복지부는 상향조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암 예방인지율과 암 검진 수검률을 높이고 항암신약개발을 적극 지원키로 했다.

우선 성인남자 흡연율을 2015년까지 35% 이하로 낮추고 대상자별 특화된 금연 프로그램을 개발해 성인여자 흡연율도 6.5% 이하로 줄여나갈 계획이다.

또 2015년까지 국가암검진 수검률을 55%까지 향상시키고 글로벌 항암신약개발을 위해 국가 주도의 재원 투자를 비롯해 임상시험 실시 등을 지원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대상자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암정보 제공을 통해 암예방 인지율 역시 60%까지 높이기로 했다.

반면, 이번 수정안에는 성인남자 흡연율의 경우 애초 목표인 15%를 35%로 상향조정했다. 2009년 성인남자 흡연율은 46.9%로 예상보다 개선속도가 늦춰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밖에 전국민 암검진 수검률은 기존 목표 80%에서 70%로 하향조정됐고 암환자 건강보험 보장률은 기존 목표 80%에서 75%로 낮춰 잡았다.

전국민 암검진 수검률과 암환자 건강보험 보장률은 2009년 기준 53.3%와 67.9%를 기록했다.

복지부 권준욱 질병정책과장은 “암 검진은 양적 개선도 중요하지만 질적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다”면서 “유방암의 경우 암발견율이 낮다는 지적이 있어 용역을 진행해 개선책 마련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