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주 중심 구성
△케이피케미칼 - 하반기 중국 화섬 수요 확대와 해외 TPA법인의 실적 기여도 증가 전망
△GS - 중국을 중심으로 한 석유 수요 확대, 정제마진 개선세에 따른 수혜
△LG패션 - 기존 및 신규 브랜드의 판매 호조와 신규 출점 증가에 따른 성장 기대
△LIG손해보험 - 자동차보험 손해율 하향 안정화·사업비율 개선 등 실적모멘텀 기대
△LG화학 - 화학 설비 증설로 판매량 증가 및 정보전자소재 수익성 개선 기대
△기아차 - 국내 매출 호조와 해외 장기적인 라이센스 사업 성장성 보유
△현대차 - 주력 차종의 신차 모멘텀과 신흥시장 모터라이제이션 최대 수혜
△대상 - 설탕 가격 상승으로 대체재인 전분당 수요 증가 및 식품 가격 인상
△세종공업 - 현대/기아차 해외공장 출하량 증가로 CKD 수출 및 지분법이익 증가
△한화케미칼 - 중국 PVC 증설, 가성소다 가격 상승 등으로 실적 개선 기대
△신규종목 - 없음
△제외종목 - 없음
◇중소형주 중심 구성
△CJ E&M-광고매출 확대 및 영화 흥행에 따른 실적 개선
△SBS - 과도한 주가 저평가와 디지털 방송 수신료 확보 가능성 증가
△NHN - 2분기 검색광고 부문의 선전으로 양호한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기대
△삼영화학 - 타이트한 제품수급에 따른 가격인상으로 2분기 실적 기대감 확산
△두산인프라코어 - 전방산업 수요증가로 공작기계 수익성 회복과 자회사 실적 개선 기대
△호텔신라 - 김포공항 면세점사업과 루이비통 입점효과 등 3분기 이후 가시화 전망
△베이직하우스 - 중국 소비성장에 따른 수혜와 홍콩법인의 홍콩증시 상장 기대
△SK컴즈 -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의 성장성 기대
△현대차 - 지역별 제품 구성의 개선으로 글로벌 평균판매단가 점진적 상승 전망
△신규종목 - 없음
△제외종목 - 없음
◇중장기 유망종목
△코오롱인더-패션부문 턴어라운드 및 필름부문과 화학부문 성장세 지속
△LG화학-ABS 가격 상승 전망과 IT 수요 회복으로 하반기 실적 개선 기대
△현대백화점 - 신규 출점 확대 및 현대그린푸드 등 계열사 성장으로 인한 수혜 기대
△화승알앤에이 - 국내외 자회사들의 실적 호조와 해외 거래처 확대에 따른 성장성 부각
△LS산전 - 중국 전력 설비 확충 계획에 따른 해외 부문 매출 성장 기대
△두산중공업 - 글로벌 전력 부족으로 화력발전소 부문의 신규 수주 모멘텀 기대
△호텔신라 - 중국인 관광객 증가에 따른 견조한 면세점 매출 성장세 기대
△대우인터내셔널 - 포스코그룹 편입에 따른 시너지 효과와 자원 개발 사업 가치 부각
△세아특수강 - 전방산업인 자동차와 기계업종의 호조로 실적 개선 지속
△현대차 - 주력 차종의 신차 모멘텀과 신흥시장 모터라이제이션 최대 수혜
△호남석유 - 주요제품인 MEG의 마진 개선 전망에 따른 실적 개선 기대
△신규종목 - 코오롱인더
△제외종목 - 없음
◇단기 유망종목
△모두투어-원/달러 환율 하락 및 유가 안정화로 하반기 여행수요 증가 기대, 장거리 노선 수요 증가 및 중소형 여행사 부진에 따른 M/S 상승 예상
△넥센타이어-기아차 주요 신모델 및 미국 생산 K5에 타이어 공급으로 인지도 상승 기대, 북미 프리미엄 타이어 판매 호조와 판매 단가 인상으로 실적 개선 전망
△OCI머티리얼즈-NF3 판매 물량 증가 및 가격 인상 효과로 2분기 사상 최대 실적 기록, 하반기 IT업황 회복 기대감 속에 NF3의 타이트한 수급 여건 지속 예상
△S-Oil-중국 내 대규모 TPA신규 설비 가동 예정 및 PX가격 상승최대 수혜, 하반기 수급 여건 개선 및 높은 고도화설비 보유비율로 실적개선 기대
△동양기전 - 전방산업의 수요 증가 및 설비 증설을 통해 외형 성장세 강화. 선진업체로의 고객 다변화를 통해 중국 법인 성장세 지속
△신규종목 - 모두투어, 넥센타이어
△제외종목 - SK케미칼(보유기간 경과로 편입 제외)
락앤락(종목 교체 차원 편입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