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금융지주사 국제적 수준 자본확충 주문

금융감독원이 금융지주사들에게 국제적 수준으로 자본확충을 할 것을 주문했다.

금감원은 최근 금융지주사 경영진과 잇따라 면담을 하고 경영지표상 나타난 취약점을 보완하도록 지도했다고 20일 밝혔다.

금융지주사들이 취약한 부분은 금융감독의 새로운 기준인 바젤Ⅲ 체제에서 중요한 연결 기본자본비율(Tier1 비율)이라는 것. 이 비율은 금융지주사가 보유한 자본의 질적 수준을 나타낸다.

국내 4대 금융지주사의 연결 Tier1 비율은 지난 3월 말 현재 우리(8.50%), 신한(8.66%), KB(9.96%), 하나(10.11%) 모두 바젤Ⅲ 기준을 사실상 밑돌았다.

바젤Ⅲ에선 Tier1의 최소비율을 8.50%로 정하고 여기에 경기대응 완충자본을 0~2.50%포인트 더 쌓도록 했다. 대형 금융기관은 추가로 0~1.00%포인트를 더 쌓아야 한다.

은행은 그동안 자본규제 강화에 충실히 대비해왔지만 금융지주사들은 바젤Ⅲ 기준이 의무적으로 적용되지 않은 탓에 너무 방만했다는 지적이다.

당장 자본규제 강화가 먼저 적용될 선진국 금융지주사의 경우 Tier1 비율이 2009년 말 UBS 18.9%, 크레디트스위스 12.4%, 씨티그룹 11.2% 등이었으며 현재는 이보다 훨씬 높아졌을 것으로 금감원은 추정했다.

금감원은 이에 따라 금융지주사들에 배당을 줄이고 내부유보를 더 쌓아 보통주자본을 확충, Tier1 비율을 높일 것을 권고했다. 아울러 금융지주사의 바젤Ⅲ 도입 대비책도 마련키로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