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부채·물가 상승·저축銀 부실 등 곳곳 ‘뇌관’
KB금융·신한금융·우리금융·하나금융·산은금융지주 등 5대 금융지주의 경제(경영)연구소장은 최근 이투데이가 긴급 실시한 ‘하반기 금융시장 전망’에 대해 이같이 답했다.
◇가계부채 증가세 “다소 완화” vs “제한적”= 정부가 지난달 말 발표한 가계부채 대책이 가계부채 증가세를 늦출 것이라는 전망에 대해선 연구소장들간 전망이 엇갈렸다.
양원근 KB금융 경영연구소장은 “정부가 가계대출 증가세를 낮추고자 하는 강력한 의지를 보이고 지속적으로 후속대책을 고민하고 있기 때문에 가계대출 증가 추세가 다소 완화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임병철 신한FSB연구소 상무도 같은 의견을 내놓았지만 “하반기 중에 마련될 구체적인 내용이 나와야 효과의 강도와 속도를 가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흥식 하나금융경영연구소장은 “현재의 가계대출 증가속도를 유지하지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한다”며 “다만 가계대출규모를 경제성장률 등에 연계해 통제한다는 방침은 내수회복의 지연, 저소득계층에 대한 자금공급 감소 등의 우려가 있다”고 덧붙였다.
가계대출 증가 추세 완화 효과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김홍달 우리금융 경영연구소 상무는 “금리수준이 높은 고정금리 대출로 전환이 쉽지 않은데다 기존 대출이 비거치식 대출로 전환될 가능성도 높지 않은 것으로 보여 은행권을 대상으로 한 가계 대출 연착륙 대책은 효과면에서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며 “직접적인 가계대출 증가세 완화 효과는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박기순 산은금융 산은경제연구소장도 표현에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가계대출 증가세 완화 효과 제한적’에 무게를 둔 분석을 내놓고 “향후 이번 정책에 다루지 못한 영역에 대해 보완조치가 이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 높아= 전문가들은 올해 하반기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 가능성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 상무는 “금리인상과 가계부채 상환부담 확대, 금융권별 가계 연체율에 주목해야 한다”며 “물가상승세 진정 여부도 눈여겨 봐야 한다”고 밝혔다.
최 소장도 “투자형 상품에 대한 선호도 개선 여부와 부동산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규제완화에 주목하는 한편 이에 따른 시중자금의 부동산 시장 유입 가능성도 중요한 포인트”라고 말했다.
박 소장은 저축은행 부실문제와 은행간 기업대출 경쟁 심화를 올 하반기 눈여겨봐야할 점으로 꼽았다. 특히 가계부채 연착륙 종합대책 등에 따른 은행간 기업대출 경쟁 심화로 중소기업대출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김 상무는 “단기 차입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국내 금융회사의 외화유동성 이슈도 하반기 중 지속적으로 제기될 전망”이라며 “글로벌 투자자금의 회수에 따른 변동성 확대 문제도 부각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글로벌 금융시장 “여전히 고비 남았다”= 글로벌 금융시장이 표면상으로는 유로존 재정위기가 추가 자금지원 등으로 큰 고비를 넘긴 것처럼 보이지만 여전히 하반기에도 많인 고비들이 남아있다는 분석이다.
임 소장은 “지난해 5월과 올해 5월과 같은 큰 혼란 가능성은 다소 줄었으나 하반기에도 소규모 혼란을 유발할 수 있는 요인이 상당수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양 소장도 “그리스가 가까스로 7월 디폴트(채무불이행) 위기를 모면했지만 현재의 위기가 지급능력의 문제인 만큼 결국 채무재조정이 불가피한 상황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며 “이에 대한 유로존 내의 논의가 어떻게 진행되는지에 따라 금융시장에 미치는 여파의 강도는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 상무 역시 “유로존 재정위기의 원인이 일시적인 유동성 이슈가 아니라 만성적인 쌍둥이 적자에서 비롯된 구조적인 문제라는 점에서 단기적인 해결은 근본적으로 불가능해 보인다”고 말했다.
최 소장은 “미국의 경우 2차 양적완화 종료로 인한 글로벌 차원의 포트폴리오 조정, 그리고 이것이 거시경제의 둔화와 맞물려 상승작용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재정부실 우려로 인해 국제 유동성이 달러화 자산으로부터 이탈할 가능성도 불안요인”이라고 지적했다.
◇금리, 완만하게 상승할 듯=연구소장들은 앞으로 정부가 기준금리를 1~2차례 더 올릴 것이라는 데는 공감했다. 이에 따라 시장금리 상승은 불가피하다고 입을 모았다. 다만 그 속도는 제한적이지 않겠느냐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임 상무는 “글로벌 경기둔화 우려, 유렵 주변국 재정위기 문제 상존 등 대외 불안요인과 국내 가계부채문제 등 대내 불안요인 등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금리 상승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최 소장은 “인플레 기대 심리 억제를 위해 올해 하반기 1~2회 정도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으로 연말 3.50~3.75%가 되고 국고채금리는 하반기 평균 3.95% 내외로 예상된다”며 “반면 시중금리는 대외 불확실성, 완만한 기준금리 인상, 수요 우위의 시장환경 등으로 상승압력은 제한적인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한다”고 답했다.
한편 연구소장들은 하반기에도 원·달러 환율 하락기조가 유지될 것으로 예상했다.
임 상무는 올 하반기 평균 원·달러 환율을 1057원으로 내다봤다. 김 상무 역시 당분간 글로벌 달러화의 약세 기조는 유지될 것으로 예상하면서 연말 환율은 1050원대를, 양 소장도 1030~1060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최 소장과 박 소장은 3분기 평균 1070원, 4분기 평균 1050원 수준을 기록, 하반기 환율은 1060원 내외로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