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장기이식용 복제 돼지 '소망이' 생산 성공

입력 2011-07-06 22:0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인간 장기이식용 복제 돼지가 탄생했다.

농촌진흥청은 급성 혈관성 면역거부반응 유전자(CD73)가 형질 전환된 복제 미니돼지 '소망이'를 생산에 성공했다고 6일 밝혔다. 지난 3월 14일 태어난 '소망이'는 지난해 8월 생산된 다중 형질전환 복제 미니돼지 '믿음이'의 후속 연구결과물로 장기이식 대기자들에게 희망이 되기를 바라는 연구자들의 마음을 담아 '소망이'로 명명했다.

농진청 동물바이오공학과 박진기 과장은 6일 브리핑을 통해 "이번 연구결과는 인체면역거부반응 유전자 제어 벡터 제작, 체세포 개발, 복제란 생산, 형질전환 복제돼지 생산 등 전 과정을 본청이 독자적으로 수행해 얻어진 것이라는데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에 생산된 형질전환 복제 미니돼지는 '급성 혈관성 면역거부반응을 제어' 할 수 있도록 인간 유전자가 도입된 것으로, 향후 돼지의 장기를 이용한 영장류 이식 등 이종장기 이식 연구를 한 단계 발전시킬 수 있는 획기적인 성과라 할 수 있다.

사람에게 이종장기가 이식되었을 때 보체(complement)를 활성화시켜 면역 거부반응이 일어나고 곧이어 혈액응고에 의한 혈전 형성과 허혈 증상 등 혈관 이상 증상이 발생하는데, 이번에 태어난 '소망이'는 혈액 응고현상을 감소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간 CD73(cluster of differentiation 73) 유전자가 돼지에서 발현되도록 개발됐다.

특히 이번에 개발된 ‘소망이’를 이용해 초급성 면역거부반응 유전자가 제어된 형질전환 복제미니돼지 ‘지노’ 또는 초급성과 급성 면역거부반응 유전자가 이중으로 제어된 ‘믿음이’ 등과 교배시킬 경우, 2~3개의 면역관련 유전자가 동시에 제어 가능한 ‘다중 면역거부반응 유전자 적중 형질전환 돼지 생산’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높다고 농진청은 전했다.

박진기 과장은 "이번에 생산된 바이오장기용 형질전환 복제미니돼지 '소망이'는 '지노', '믿음이' 등과 함께 국내 바이오장기 연구를 세계적 수준으로 도약시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중요한 초석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