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ㆍKCT, 의견차 못 좁혀...통신인하 효과도 불투명
‘저가 이동통신’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는 이동통신재판매(MVNO) 사업이 출발부터 삐걱거리고 있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로 형성된 통신시장에 MVNO 사업자들이 참여하면서 ‘다중경쟁’이라는 새바람을 예고했지만 이해주체별로 첨예한 시각차를 좀처럼 좁히지 못하고 있다.
1일 이동통신 업계에 따르면 MVNO 사업자는 자체 통신망을 설치하는 대신 SK텔레콤·KT·LG유플러스 같은 기존 통신사의 설비를 싼 값에 빌려 사용한다. 막대한 투자비용이 들지 않기 때문에 이용자에게 저렴한 통신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날 아이즈비전과 에스로밍 등이 각각 SK텔레콤 KT의 설비를 도매가로 빌려 본격적인 서비스에 돌입했다. 이날 등장한 MVNO는 선불형 휴대폰 서비스. T머니처럼 미리 일정액을 충전해놓고, 그 금액만큼 통화를 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당초 이날 함께 서비스 개시를 예고했던 한국케이블텔레콤(KCT)는 하루전인 지난 30일 SK텔레콤과 도매제공 협정을 매듭짓지 못해 언제 서비스를 개시할 지 불투명하다고 밝혔다. 지난 27일부터 도매제공 협정을 체결하기 위해 본격적인 협상에 들어갔으나 설비설치비용 분담과 장문문자(MMS), 영상통화의 도매대가를 두고 시각차를 좁히지 못했기 때문이다.
KCT는 방송통신위원회의 MVNO 지원방안에 따라 오는 2012년말까지 설비설치비용이 유예되는 만큼 먼저 서비스를 시작한 뒤 비용분담 문제를 논의하자는 입장이다. 반면 SK텔레콤은 KCT가 200만명 이상의 가입자가 모일 때까지 비용을 지불하지 않겠다고 밝히고 있어 이를 수용하기 어렵다는 반응이다.
이를 두고 업계에서는 여러 가지 분석이 제시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방송통신위원회가 SK텔레콤과 KT의 자회사인 SK텔링크, KTIS에게 내린 MVNO 사업개시 유예 결정이 화근이 된 것 같다"고 말했다.
방통위는 거대 이동통신 사업자의 계열사가 MVNO 시장에 뛰어들 경우 신규 사업자들의 진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이유로 이들 계열사의 사업 진출을 봉쇄했다.
한편 일각에서는 MVNO 사업자 등장으로 예고됐던 ‘통신비인하’효과 발생이 쉽지 않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기존 이통 3사가 빌려주는 통신망의 이용료가 싸지 않기 때문이다.
SK텔레콤은 후불제 MVNO에게 분당 108원 요금을 기준으로 66원에 임대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기존 통신요금 대비 20% 이상 저렴한 MVNO요금제를 감안하면 분당 요금이 최소 86원에 이른다. 분당 66원을 주고 망을 빌려서 이용자에게는 86원을 받아야 되는 셈이다. 차액 20원 안에서 가입자 유치를 위한 마케팅비, 각종 유통망 운용비 등을 모두 소화해야 하는 상황이다.
일반 휴대폰과 같은 후불제 MVNO 서비스는 오는 10월 이후에 등장한다. 현재 후불제MVNO를 준비 중인 곳은 한국케이블텔레콤(KCT)을 비롯해 4~5개 업체가 진출을 예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