끈끈한 해양인맥…해운업계 막후서 막강파워 자랑

입력 2011-06-24 11:00수정 2011-06-24 18:4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官-영원한 철밥통]⑦국토해양부 <하>해양·수산 분야

▲지난 1996년 정부조직 개편에 따라 해운항만청과 수산청 등이 통폐합돼 발족한 해양수산부는 2008년 2월 정부조직법 개정에 따라 일부는 국정홍보처 및 건설교통부와 통합해 국토해양부로, 일부는 농림부와 통합해 농수산식품부로 개편됐다.
이명박 정부들어 국토해양부에 편입된 옛 해양수산부는 현 정권들어 건설교통부와 통합되면서 권력의 중심에서 벗어나 있다. 하지만 산하기관과 관련업계에서 이들은 여전히 막강한 실력을 행사하고 있다. 해양수산부가 해체됐지만 해양항만청 출신을 중심으로 한 끈끈한 인적 구속력을 기반으로 해양인맥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장·차관 = 국토해양부(옛 해양수산부)의 정통 관료 출신 장관은 최낙정 전 장관(행시17회)과 노무현 정권 말기에 장관자리에 오른 강무현 전 장관(행시22회)이 유일하다. 최 전 장관은 해운항만청 총무과장과 마산지방해운항만청장, 어촌개발국장, 기획관리실장, 차관을 거쳐 장관자리 까지 오른 인물이다. 최 장관은 퇴직이후 해양문화재단 이사장에 재직하면서 현재까지 건재함을 과시하고 있다.

강 전 장관은 정통 해양수산 관료로 자타가 인정한 해양통이지만 해운업체로부터 금품을 받은 혐의로 2년의 실형을 선고 받으면서 기관이나 민간기업에서 이렇다할 활동을 하지 못했다. 강 전 장관은 지난해 8.15 특사로 풀려난 뒤 칩거중이다. 해양수산부 기획예산담당관, 해양수산부 공보관, 수산정책국장, 해운물류국장, 해양수산부 기획예산담당관을 거쳐 국립수산과학원장, 해양수산부 차관을 역임했다.

옛 해양수산부 역대 차관들 역시 장관 못지않게 사회 각 분야에서 실력 행사를 하고 있다.

홍승용 전 차관은 연구원 출신의 관료로 자리를 잡고 자신의 입지를 공고히 다지며 해운항만청 출신에 버금갈만한 권력의 중심축을 만든 인물이다. 미국 하와이대학교 부설 동서문화센터 자원시스템 연구소 연구원, KIST 부설 해양연구소 해양정책 연구실장, 한국해양연구소 해양정책 연구부장, 해양수산개발원 원장 등을 거쳐 1999년 5월부터 2년10개월간 해수부 차관을 맡았다. 차관직에서 물러난 이후 7년 가까이 인하대학교 총장직을 수행했다. 현재는 녹색성장해양포럼 회장, 고려대학교 기술지주회사 대표이사, 세계해양포럼 공동의장, 영산대 재단인 학교법인 성심학원 명예총장으로 학계와 재계에서 왕성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김영남 전 차관(기시5회) 해운항만청 기획과장, 해양수산부 항만국 국장,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 이사장, 해수부 항만국 국장,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 이사장을 거쳐 한국지역난방공사 사장직을 수행했다.

국토해양부로 통합 된 이후 제1대 2차관을 지낸 이재균 전 차관(행시23회) 역시 해운항만청 출신으로 당시 기획예산담당관을 마지막으로 해수부로 통합된 이후 총무과장, 공보관, 부산지방해양수산청장, 해운물류국장, 정책홍보관리실장 등을 거쳤다. 현재 퇴임한 뒤 현재 해외건설협회장에 재직하고 있다.

국토부 제2대 2차관을 역임한 최장현 전 차관(행시21회)도 해양항만청에서 공직생활을 시작했다. 최 전 차관은 해수부 공보관과 해운물류국장, 어업자원국장을 거쳐 중앙해양안전심판원장, 해양정책본부장, 차관보,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 이사장을 거쳤다. 최 전 차관은 공직에서 퇴임 후 지난 4월 한국과 중국을 오가는 카페리 회사인 위동해운 대표로 취임했다.

◇1·2급 = 올해 5월 취임한 부원찬 선박안전기술공단 이사장은 해수부와 국토부에서 잔뼈가 굵은 현직 공기업 수장으로 꼽힌다. 부 이사장은 지난 1976년 공직에 입문해 제주해양수산청장, 해양수산부 감사담당관·장관비서관·총무팀장을 거쳐 2007년 부이사관으로 승진한 뒤 국토해양부 해양교통시설과장을 지냈다. 올해 초까지 여수지방해양항만청장으로 근무했다.

김종태 인천항만공사 사장은 해운·항만 분야의 행정가이자 기업 CEO 등 민·관을 두루 섭렵한 해양 전문가다. 행시 17회로 공직에 입문해 청와대 해양수산비서관, 부산지방해양수산청장, 해양수산부 기획관리실장 등을 지냈다. 이후 한진해운 부사장, 싸이버로지텍 부회장 등을 거쳐 다시 공기업으로 돌아온 케이스다. 오는 8월 3년간의 임기를 마치게 된다.

지난해 5월부터 한국해양과학기술진흥원 수장을 맡고 있는 신평식 원장은 행정고시 24회로 공직에 진출했으며 해양수산부 해양정책국장과 여수세계박람회 조직위원회 기획실장을 지냈다. 국토해양부로 통합된 후에는 물류항만실장으로 일했다.

올해 3월부터 해양환경관리공단 수장을 맡은 곽인섭 이사장은 행시 25회로 1981년 공직에 진출 해양수산부 해양정책과장·총무과장·감사관·재정기획관, 부산지방해양수산청장, 국토해양부 물류정책관·물류항만실장 등을 거쳤다.

해수부와 국토부 고위직을 거쳐 민간 해운사 대표로 자리를 옮긴 경우도 많다.

해운물류IT 전문기업인 케이넬넷 대표로 지난 1월 취임한 정유섭 사장은 행정고시 22회 출신으로 주미대사관 해양관, 해양수산부 해양정책과장·수산정책과장, 건설교통부 수송물류심의관 등을 거쳤다. 이후 국립해양조사원장과 인천지방해양수산청장, 한국해운조합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이밖에 한중훼리 박경원 대표는 전 해양수산부 해운선원국장 출신이며, 영성대룡해운 정 홍 대표는 전 해양수산부 해운정책과장을 지냈다.

이장훈 전 해양과학기술진흥원장의 경우는 한국선주상호보험조합(KP&I) 부회장으로 내정됐다가 최근 낙하산 인사 논란이 일자 자진사퇴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