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의 부동산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채권비율과 연체율 상승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은행은 추가 충당금 적립 등 여신 건전성 가화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또한 부실PF 채권 처리를 위한 PF정상화뱅크가 성공하려면 부실채권의 공정가치를 정확하게 평가해 관련 은행들의 도덕적 해이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김병덕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13일 내놓은 '은행권 PF정상화뱅크 설립과 향후 부실 PF 채권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PF정상화뱅크는 외국계 은행을 제외한 7개 은행과 연합자산관리(유암코)가 각각 유한책임사원 및 무한책임사원으로 참여하는 사모펀드(PEF) 형태가 될 전망이다.
김 위원은 그러나 "PF정상화뱅크는 은행들의 출자비율과 매입 대상 부실 PF 채권의 보유 비중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고 여기에 참여하지 않은 일부 은행이 부실 PF 채권을 사들일 가능성이 있는 등 은행간 이해 상충이 일어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 일어날 수 있는 문제를 최소화하려면 매입대상 부실채권의 공정가치를 정확히 평가해 PF정상화뱅크가 중장기적으로 평균 시장수익률 정도의 배당이익을 낼 수 있도록 매입가격을 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김 위원은 또 "이번에 출범하는 1호 PF정상화뱅크가 궁극적으로 손해를 보지 않고 사업구조조정을 통해 평균적인 시장수익률 정도의 배당이익을 낼 수 있어야 2, 3호 PF정상화뱅크의 설립도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더불어 "최근 은행의 부동산 PF대출은 부실 PF 채권비율과 연체율이 상승하고 있어 향후 부동산 경기 침체가 지속되고 건설사들의 현금흐름이 악화되면 부실 PF대출의 추가 발생 가능성이 높다"며 "은행들은 충당금 추가 적립 등 여신건전성 악화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